최근 한국사회 자살의 원인과 사회적 영향, 그리고 자살예방법
*종*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한국 사회의 자살원인과 사회적 영향, 그리고 예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검색이나 다른 자료들을 사용하다보면 중복되고 불필요한 내용이 많은데,
그런것들을 다 배제하고 핵심과 저의 결론을 담았습니다.
기-승-전-결에 잘 맞춘 자료로서 발표평가에 A+받은 자료입니다.
도입: 한국사회 자살의 고찰
이론: 자살의 과학적 이론 (대표학자들)
사례: 최근 한국의 사례
예방: 예방책 (일명 최진실법 논란) , 예방센터안내
목차
Ⅰ. 서 론Ⅱ. 자살에 대한 개관과 이론
1. 자살의 개념
2. 자살의 이론
Ⅲ. 최근 자살의 분석
1. 경제적 상황이 주요 원인.
2. 인터넷 사용 증가로 인하여 발생되어 오게 되는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의 증가.
Ⅳ. 자살의 예방
1. 사회보장제도 및 자살 예방책의 마련
2. 우울증에 대한 사회적 대책 필요
3. 언론사의 검열제도 강화와 인터넷 실명제 도입
4. 자살방지 프로그램
Ⅴ. 결론
- 참고문헌
- 부록 : 자살예방교육 관련기관
본문내용
1. 한국사회에서의 자살은 경제적 어려움과 연관이 깊다.- IMF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자살 사건이 많이 발생.
이것으로 보아 자살과 어려워진 경제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
- 지금도 외환위기가 완전히 극복된 것이 아니라, 경제적 어려움이 지속되면서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 즉, 경제적 요인이 사람들의 행동, 가치관, 태도에 많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는 것을 보여줌.
2. 인터넷의 영향 (익명성을 이용한 악성 댓글과 루머)
- 인터넷의 발달로 사회적 이슈에 대해 성별과 연령 구분이 없이, 컴퓨터와
인터넷 연결 장치만 갖추면 모든 사람이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 그러나, 인터넷의 익명성을 악용하여 무차별적으로 악성 루머, 비방, 욕설 등 을 퍼트리게 되었고, 수많은 사람들이 정신적인 충격과 스트레스, 우울증 등 으로 인해 자살을 선택,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었다.
3. 자살은 어느 한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구조적인 문제이다. (연구결과)
- 자살기도는 세계 대다수의 국가에서 남성보다는 여성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 나고 있으나 실제 자살률은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은 실정이다.
- 이혼, 사별, 독신인 경우에 자살률이 높고, 농촌보다는 도시 지역이 자살률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됨.
- 자살은 주기적인 패턴을 가지고 일어난다.
4. 인구 10만 명당 자살사망률 2위
- 국제적으로 경제협력기구(OECD) 회원국가 중 2006년 기준으로 인구 10만 명당 자살사망률은 OECD 회원 국가 중 헝가리(22.6)에 이어 2위를 기록.
- 이는 일본(19.1명), 프랑스(15.3명), 미국(10.2명), 영국(6.3명) 등 주요국에 비해 상당히 높다.
※ 자신의 생명을 존중하지 않은 자살의 증가는 곧 인명 경시사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실제로 자살을 각오하고 흉악범죄를 저지르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기 때 문에,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참고 자료
1.한국 자살예방협회 : http://www.suicideprevention.or.kr/index.htm2. 희망의 전화 129 : http://www.129.go.kr/
: 보건복지가족부 보건복지 콜센터 (전국 어디서나 국번없이 129)
3. 한국청소년상담원
: http://www.kyci.or.kr/
: 청소년자살 위기개입 프로그램 개발, 상담자료실 자살고민해결백과
- 오진탁, 『자살, 세상에서 가장 불행한 죽음』 (세종서적, 2008) pp.90~142.
- 천선영, 「자살의 이유를 알아야 하는 이유」『한국사회학』,사회와 이론,
2008, pp 293~325
- 임보연, 「베르테르 효과`인가..`목맨 자살` 잇따라」, 『연합뉴스』 ,
2008.10.3일자
- 보건복지가족부, 연예인 자살통계비교분석, 2008. 10
- 한국자살예방협회, 2008, http://www.suicideprevention.or.kr/
- 고려대학교 자살예방연구소, 2008, http://www.qprkorea.co.kr/
- 신성원, 『우리나라의 자살 실태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3호, 2008. 3. pp.190~196
- 신성원, 『우리나라의 자살 추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추계종합학술대회』, 2007. 11. pp.131~162
- 은기수, 『경제적 양극화와 자살의 상관성: 1997년 외환위기를 전후하여』,
『한국인구학』, 제 28권, 제 2호, 2005. 12, pp.9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