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반응이 진행되면서 가 떨어져 나온다. 따라서 의 농도를 통해서 반응 속도를 알 수 있다.
② 는 potentiometry를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working electrode인 silver wire와 위의 반응에서 떨어져 나온 가 만나서 AgCl 이 생성되고, 전자 하나가 떨어져 나온다.
전자 하나가 떨어져 나오면서 potential이 바뀌게 된다. 따라서 Nernst equation을 쓰면 potential을 통해 를 구할 수 있다.
Nernst equation :
③ A → P 인 일차 반응에서 반응 속도 식은
∴ ln[A] vs t의 그래프를 그리면, k값을 구할 수 있다. (기울기 = -k)
④ Arrhenius equation을 통해서 E값을 구할 수 있다.
∴ ln(k) vs 의 그래프를 그리면, E값을 구할 수 있다. (기울기 = )
⑤
a. reference electrode(기준전극) : 일 정한 전위를 가지고 있어 기준이 되는 전극이다. 기준전극의 전위를 이미 알고 있으므로, 이를 통해 측정하는 다른 전 극의 전위를 알 수 있다.
b. working electrode(작업전극) : 반응 이 일어나는 전극이다. 전압은 작업전극 과 기준전극 사이에서 측정된다.
이 실험에서 사용할 working electrode 는 제2종 전극이다. 여기서 제2종 전극 이란 금속전극이 음이온에 감응하는 전 극을 말한다. 즉, 사용하는 전극과 실험 에서 분석해야 할 물질이 간접적(이차 적)으로 감응하는 것이다.
이 실험에서 reference electrode는 AgCl에 3M KCl 용액을 채운 것을 사용하는데, KCl 용액으로 전극을 채웠을 때의 이점은 실험 상황에서 온도가 바뀌어 발생할 수 있는 water evaporation을 방지해준다는 점과 다음 실험에서도 또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것 이다. 그리고 working electrode는 표면을 AgCl로 덮은 silver wire를 사용한다. Fe(Ⅲ)Cl용액에 silver wire를 담가 표면을 AgCl로 덮어주는데, 이 AgCl로 감싼 silver wire를 증류수가 들어있는 비커에 넣게 되면 AgCl이 물 속에 용해되어 포화상태가 된다. 이렇게 포화상태를 만들어야 Cl이온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⑥ Tert-butyl chloride (C₄HCl)
MW : 92.57 g/mol
mp : -26 ℃
bp : 51 ℃
water solubility : sparingly soluble in water
d : 0.89 g/ml
참고자료
· · Exploring Chemical Analysis, Daniel C. Harris, Freeman, 3rd ed.
· ·http://www.uni-regensburg.de/Fakultaeten/nat_Fak_IV/Organische_Chemie/Didaktik/Keusch/cassy_tert.bucl-e.htm
· · 전기화학적 분석법, 황훈, 자유아카데미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