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김영랑, 박용철을 중심으로)
Ⅱ. 본론
1. 시문학파의 형성과 문학적 방향
2. 시문학파의 시적 전개와 작품세계
(1) 김영랑
(2) 박용철
3. 시문학파의 시적 특질과 시사적 의의
(1) 시문학파의 시적 특질
(2) 시사적 의의
Ⅲ. 결론
참고자료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시문학파의 형성과 문학적 방향
2. 시문학파의 시적 전개와 작품세계
(1) 김영랑
(2) 박용철
3. 시문학파의 시적 특질과 시사적 의의
(1) 시문학파의 시적 특질
(2) 시사적 의의
Ⅲ.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시문학파
(김영랑, 박용철을 중심으로)
Ⅰ. 서론
전체 한국문학사에서 근대문학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근대에 접어들면서 한국문학은 비로소 민족문학의 본론화과정에 접어든다. 세계문학사에 한 물줄기를 이룬 작품을 산출하기 시작한 것도 이 무렵부터다. 그런데 한국근대문학사에서 1930년대의 시가 차지하는 좌표는 아주 결정적이다. 30년대의 한국시에서 시문학파는 순수라는 새 경지를 연 유파 이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시문학파의 명칭은 1930년 3월에 창간호가 나온 시전문지 『시문학』에서 연유한다. 시문학파의 중요 구성원은 김영랑 ․ 정지용 ․ 박용철 ․ 신석정 ․ 이하윤 등이다. 본고에서는 김영랑과 박용철을 중심으로 시문학파의 시적 전개와 작품세계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 시문학파의 시적특질과 시사적 의의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시문학파의 형성과 문학적 방향
내부 분열과 투쟁, 중일전쟁을 앞둔 군국 체제 강화에 맞추어 한층 거세진 일제의 탄압, 민족 문학파와 해외 문학파의 끈질긴 저항 등으로 카프가 어수선해지고, 초기와 달리 국민 문학파도 차츰 활력을 잃으며 문단의 구심점에서 밀려날 즈음, 1930년대 문학의 큰 줄기를 이루게 되는 한 무리의 시인들이 등장한다. 이들은 식민지 문학이 난숙기에 들어서는 1930년 3월 창간된 시전문지 『시문학』을 중심으로 활동에 나서 일명 ‘시문학파’로 불리게 된다. 시문학파는 정치 이데올로기 등에서 한 걸음 물러나 문학 자체의 자율성과 미학을 추구한 시인들이 주도한다. 이 유파의 시인들은 1920년대 중반 이래 각종 이념에 혹사당하던 우리 언어를 어루만지고 다듬으며, 시를 다른 무엇에 복무하는 도구가 아니라 그 자체로 충분히 아름다운 빛을 뿌리는 예술의 자리에 다시 세운다. 또 새로운 문학에 대한 성취 욕구 즉 전통성과의 조화를 통한 새로운 언어구조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개한다.
참고 자료
김용직, 「서정, 실험, 제 목소리 담기」,1989
김용직, 「 한국 現代詩의 흐름」,1996
김용직, 박철희 『한국현대시작품론』, 국어국문학 총서1, 도서출판 문장 ,1996
김윤식, 김우종외 30인 『한국현대문학』,1989
서기남, 「詩文學派硏究」,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82
유윤식, 「시문학파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1988
유윤식, 「시문학파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한양어문,1988
장석주, 『20세기 한국 문학의 탐험 Ⅰ권』,시공사,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