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지의 경제적 가치와 람사협약
- 최초 등록일
- 2008.11.25
- 최종 저작일
- 2008.09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습지의 경제적 가치와 람사협약에 대해서 쓴 리포트입니다.
목차
1. 습지 (濕地)
1.1 습지가 지닌 주요한 생태적 기능
1.2 경제적 가치
1.3 습지의 역할
1.4 습지의 가치 정리
2. 생태계와 자정 능력
3. 람사협약
4. 우포늪
본문내용
3. 람사협약....
3.1 람사 협약의 정의
♡ 정식명칭
물새 서식지로서 특히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
Convention on Wetlands of International Importance especially as Waterfowl Habitat
♡ 람사협약에서의 습지란?
: 자연적이거나 인공적이거나 영구적이거나 일시적이거나, 또는 물이 정체하고있거나, 흐르고 있거나, 담수이거나 기수이거나 함수이거나 관계없이 소택지, 늪지대, 이탄지역 또는 수역을 말하고 이에는 간조시에 수심의 6미터를 넘지 않는 해역을 포함한다
♡ 람사협약에서 물새란?
: 생태학적으로 습지에 의존하는 조류
람사 협약은 자연자원과 서식지의 보전 및 현명한 이용에 관한 최초의 국제협약으로서 습지 자원의 보전 및 현명한 이용을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한다. 이 협약의 정식명칭은 "물새 서식지로서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the convention on wetlands of international importance especially as waterfowl habitat)"으로 1971년 2월 2일 이란의 람사(Ramsar)에서 채택되었고 물새 서식 습지대를 국제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75년 12월에 발효되었다.
97년 7월 28일 우리나라는 101번째로 이 협약에 가입을 했고, 현재(2000년 1월 5일)까지 117개국, 1011개소, 전체면적 약 71,800,000 ha의 습지가 리스트에 올라 있다. 협약 가입 때 1곳 이상의 습지를 람사습지 목록에 등재하도록 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강원도 인제군 대암산 용늪이 첫 번째로 등록되었고, 두 번째 등록 습지로 경남 창녕군 우포늪이 등재되어있다.
참고 자료
-http://www.upo.or.kr/
-습지학원론(한국의 늪), 2000, 박수영, 경남발전연구원 공저
-http://mercury.chonnam.ac.kr/~ingony/
-http://wildlife.re.kr/column/contents/column-20000124.htm
-답사계획서 및 우포늪 참고차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