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요즘 떠오르고 있는 유헬스에 대한 최신의정보를 모아 작성한 기술동향보고서
목차
1.서론2.개요
2.1. 유헬스(U-Health) 정의 및 범위
2.2 유헬스의 등장 배경
3.핵심기술요소
3.1 생체신호 측정센서기술
3.2 생체신호 측정기기 기술
3.3 생체신호 전송 모니터링 기술
3.4 헬스케어 기술 표준화
3.4.1 u-헬스케어 기술 표준의 범위
3.4.2 u-헬스케어 표준화 동향
3.5 Medical BAN
4.산업연구동향 및 시장규모
4.1 홈&모바일 헬스케어
4.1.1 홈 헬스케어
4.1.2 모바일 헬스케어
4.2 U-Hospital
4.3 Wellness
5.정책제언
6.응용사례
7.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전 세계적으로 평균 수명의 증가 및 저 출산으로 인하여 고령화 사회가 빠르게 진행되어지고 있다. 이에 따른 생산가능 인구의 부양부담이 가중되고, 노인의 의료비가 증가하며, 요양보호 수요 노인이 증가하는 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하여 사회, 복지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국가재정의 부담은 가중 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급속한 고령화 경향은 ‘위협’요인이자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 이기도하다. 그리하여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인 유헬스(u-Health)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유헬스는 원격 환자모니터링과 같이 유무선 네트워킹 기술을 활용하여 "언제나, 어디서나" 이용가능한 건강관리 및 의료 서비스를 지칭한다. 유헬스 서비스의 시작으로 병원에서 단발성 치료에 국한되었던 기존 서비스가 이제는 가정 등 실생활 전 영역에서 평생에 걸쳐 제공되어 시·공간적으로 확대되었다. 유헬스 시대의 도래를 예견한 인텔, IBM 등 글로벌 IT기업은 이미 이 분야에 진출하였거나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유헬스는 신성장산업으로서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노인의료비가 급증하고 있는 한국경제의 현실에서 의료비 절감의 주요 수단이 되기도 한다. 원격 환자모니터링만으로도 국민건강보험 지출에서 연간 1.5조원(2006년 기준)의 노인의료비가 절감될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의 홈&모바일 헬스케어 시장규모는 2006년 9.7억달러에서 2015년 336억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잠재수요 기준으로 본 한국의 홈&모바일 헬스케어 시장규모도 2005년 1,168억원에서 2012년에는 1조원을 상회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잠재수요를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극복해야할 과제도 만만치 않다. 기술적 측면에서는 유헬스의 핵심 기술인 센싱의 정확도와 편리성을 제고하고, 개인별평생 전자의료기록 구축에 필요한 의료정보를 표준화해야 한다. 특히 유헬스 산업의발전을 위해서는 한국만의 특수 상황인 정부규제 완화 등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가령, 의료기관의 영리행위 금지나 의료인의 서비스 독점 등에 관한 의료법의 개선이 요구된다. 이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헬스의 현재 동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참고 자료
강성욱 외,「유헬스(u-Health)의 경제적 효과와 성장전략」,삼성경제연구소, 2007강성욱,「유헬스 시대의 도래」,삼성경제연구소, 2007
정영철 외,「국내 e-Health 발전에 따른 정책대응방안 연구」,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지경용,「U-Health 비즈니스 전망 및 시장 활성화 방안」,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5
정병주,「유비쿼터스사회의 의료ㆍ보건 비즈니스 트렌드」,한국전산원, 2006
장병준 외,「헬스케어폰 특허 동향」, IITA(정보통신연구진흥원) 주간기술동향 통권 1211호, 2005
장병준 외,「Medical BAN 표준화 동향 및 주요 Issue」,IITA(정보통신연구진흥원) 주간기술동향 통권 1310호, 2007
손대일, 「U-City에서 U-Healthcare의 방향」, KETI EIC(전자부품연구원 전자정보센터), 2005
손대일, 「웨어러블 컴퓨터를 이용한 U-Healthcare 서비스」, KETI EIC(전자부품연구원 전자정보센터), 2006
오해석, 「U-헬스케어 기술 및 표준화 동향」, TTA(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07
윤훈주, 「U-헬스케어」, UbiuNet(유비유넷), 2008
이홍순, 「U-Health」,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