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관리 과목 과제 PPT입니다.
주제는 20대를 위한 자동차 감성 마케팅 이며
20대의 감성마케팅 설문조사자료, 감성마케팅의 정의및 종류
기아자동차 `soul`의 감성마케팅전략 등을 담았습니다.
2008년11월 발표했으며 A+ 받았습니다~ 참고하세요^^
결론은 좀더 도출이 필요합니다~
목차
Ⅰ.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목표
Ⅱ. 환경분석
2-1. 20대 소비자 분석
2-2. 자동차 시장 분석
2-3. 20대 소비자 인식조사
2-4. 20대 소비자와 감성마케팅의
연관성
2-5. 20대를 위한 마케팅 전략
Ⅲ. 감성 마케팅
3-1. 감성마케팅 정의
3-2. 감성마케팅의 오감전략
3-3. 문화마케팅
3-4. 감동마케팅
Ⅳ.기아자동차 ‘SOUL’의 감성마케팅 전략
4-1. stp 분석
4-2. 4p분석
4-3. SWOT 분석
4-4. 향후`SOUL`의 유럽시장
감성마케팅 전략
Ⅴ.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자료: 한국자동차공업협회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승용차 신규등록에서 20대 소비자가 차지하는 비중(단위:%)
30대
1만9357대
20대
1만9372대
2008년4월신규등록대수
1-2 연구목표
감성마케팅이
20대소비자의
차량구매선택에
왜
중요한가!!
자동차시장에
20대소비자의
중요성
감성마케팅
20대소비자분석
사례분석
20대를 위한 자동차 감성마케팅의 중요성
2-2 자동차 시장 분석
Ⅱ. 환경분석
2-1 20대 소비자 분석
2-4 20대 소비자와 감성마케팅의 연관성
2-3 20대를 위한 마케팅전략
2-3 20대 소비자 인식조사
2-1 20대 소비자 분석
내 생애 첫 차
20대 구매력 증가
처음 구매한
브랜드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
20대의 구매능력
판매량 증가 및 재구매율 증가
적절한
마케팅전략
참고자료
· ※ 참고도서 및 논문 및 인터넷 자료
· ●아이하라 히로유키(2007)『마케팅 전략 노트』, 넥서스 BOOKS.
· ●한국자동차공업협회 정보조사팀(2008), 「자동차에 관한 소비자 의식 조사 결과」
· ●강상원(2002), 『쉽게 알자! 마케팅』, 더난출판.
· ●(주)대홍기획 마케팅전략연구소(1999), 『한국사람들上』, (주)대홍기획.
· ●윤훈현(1998) 『소비자 행동론』, 도서출판 석정.
· ●이학식·안광호·하영원(2001) 『소비자행동』, 법문사.
· ●김대영(2006), 『뜨는 마케팅으로 승부하라』, 미래의 창.
· ●이장우(2001),『마케팅 잘하는 사람 잘하는 회사』, 더난출판.
· ●김훈철·장영렬(1998), 『컬러마케팅 전략』, 다정원.
· ●대홍기획 마케팅컨설팅그룹(2002), 『Changing Korean上』, 대홍기획.
· ●최병용(2000), 『소비자행동론의 이해와 적용』, 박영사.
· ●한국자동차공업협회(2007), 『자동차통계월보(1∼10월보)』
· ●박순용(2007), `자동차 구매과정에서 소비가치가 제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안광호(2000), `관계마케팅에 있어서 고객확보와 유지에 관한 연구(자동차산업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자동차공업협회(2007), 「2008년 자동차산업 전망」
· ●자동차공업협회(http://www.kama.or.kr)
· ●삼성경제연구소(http://www.seri.org)
· ●기아자동차 http://www.kia.co.kr/
· ●http://blog.naver.com/mongle01/110029851633
· ●http://blog.naver.com/sencommuni/90031594949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