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소노미의 개념적 접근과 웹정보 서비스의 적용
- 최초 등록일
- 2008.11.18
- 최종 저작일
- 2008.11
- 36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3,000원
소개글
사회적 분류(폭소노미 또는 협력태깅, 사회적 북마킹)의 개념과 의의를 고찰하고 웹 정보 서비스로의 적용을 시도함.
목차
1.요약
2.연구의 배경
3.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4.선행연구
5. 폭소노미의 개념적 접근
6. 웹정보서비스에의 적용
7. 결론
본문내용
1. 요약
사회적 분류(폭소노미 또는 협력태깅, 사회적 북마킹)의 개념과 의의를 고찰하고 웹 정보 서비스로의 적용을 시도하고자 한다.
문헌을 통한 선행연구와 적용 사례들을 훑어봄으로써 폭소노미의 철학적 의의를 되짚어보고 실제 웹 정보서비스에 적용되는 갖가지 유형과 기능들을 살펴본다.
웹 정보 서비스에 적용 가능한 몇 가지 기능들을 제시함으로써 폭소노미의 활용을 위한 방향과 지침을 제시하였다.
Organizing Knowledge
*
2. 연구의 배경(1/3)
최근 동향
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확산
정보를 가공하고 활용하는 과정 전반에 이용자의 인식과 취향이 중요하게 작용
데이터 디자인에도 이용자가 중심이 되어야 성공을 위한 전제조건이 충족
서비스 제공업자 또는 상품 생산자에서 사용자에게로 무게 중심 이동
Organizing Knowledge
*
2. 연구의 배경 (2/3)
Web 2.0
특징
플랫폼(Platform)으로서의 웹
플랫폼 위에 있는 서비스는 자신이 원하는 대로 할 수 있음
누구나 데이터를 소유하지 않음, 모든 사람이 사용할수 있음
더 나은 형태로 변경 가능
참여와 공유의 신문화, 사람이 중심
기술
AJAX, Flax, XML, RSS, Tagging, Lamp 등
보안/OS종속성
O/S 브라우저 상관없이 구현 가능
Web 2.0
기술도, 마케팅 용어도 아닌 이용자의 경험을 중시하는 것으로 이용자 중심
의 참여와 개방에 바탕을 둔 플랫폼으로서의 웹
Library 2.0
도서관이 오랫동안 추구해 온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Web
2.0의 개념과 웹 기술 및 서비스를 응용하고 실천하며 사고하는 방식
Organizing Knowledge
*
2. 연구의 배경 (3/3)
O’Reilly의 Web 2.0의 특징
1) 플랫폼으로서의 웹
2) 집단지성의 활용
3) 차별화의 열쇠는 데이터 자체
4) 프로그래밍은 단순하게
5) PC에 얽매이지 않고
6) 소프트웨어의 배포주기가 정해져 있을 수 없고
7) 사용자들에게 더 많은 편리함을 제공
Organizing Knowledge
*
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필요성
지식체의 급격한 증가
웹 서비스 제공업자들이 다양한 태깅 서비스 제공
위키피디아 “폭소노미, 사회적 북마킹을 이용자가 스스로 생성하는 인터넷정보 태깅의 실습이며, 리스트를 공유해 인터넷 정보원을 탐색하고, 분류하고, 순위를 정하고, 할당하는 것으로써 현재 대중적으로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
연구의 목적
웹 정보분류라는 문맥하에 폭소노미 재조명
폭소노미의 개념적 이해와 의의를 바탕으로 폭소노미가 적용된 웹 정보서비스 현황을 살펴보고 그 적용을 제안
Organizing Knowledge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