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례][결혼][예식][웨딩][결혼식][혼인]혼례(결혼, 예식, 웨딩)의 의의, 혼례(결혼, 예식, 웨딩)의 유래, 혼례(결혼, 예식, 웨딩)의 절차, 혼례(결혼, 예식, 웨딩)의 음식, 외국(중국) 혼례(결혼, 예식, 웨딩) 사례
- 최초 등록일
- 2008.11.16
- 최종 저작일
- 2008.1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혼례(결혼, 예식, 웨딩)의 의의, 유래와 혼례(결혼, 예식, 웨딩)의 절차, 음식 및 외국(중국)의 혼례(결혼, 예식, 웨딩) 사례 분석
목차
Ⅰ. 개요
Ⅱ. 혼례(결혼, 예식, 웨딩)의 의의
Ⅲ. 혼례(결혼, 예식, 웨딩)의 유래
Ⅳ. 혼례(결혼, 예식, 웨딩)의 절차
1. 의혼
2. 납채
3. 친영
Ⅴ. 혼례(결혼, 예식, 웨딩) 음식
1. 초례상(醮禮床)
2. 폐백음식
3. 이바지음식
Ⅵ. 외국의 혼례(결혼, 예식, 웨딩) 사례(중국)
1. 결혼일 정하기
2. 의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전통이란 것은 그 사회의 고유하고 현대적인 옛 가치관을 말하는 개념이다. 그래서 매우 유기적인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나라 전통혼례와 현대의 전통혼례를 비교해보며 우리나라의 전통혼례에서 보존되고 있는 기본적인 틀과 현대에 와서 어떠한 부분이 재조정되고 현대의 가치관에 맞게 변화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청혼과 허혼의 절차를 의미하는 혼담과, 사주를 보내는 납채와 택일하여 이에 동의하는 절차인 납길, 혼인에 대한 감사의 예물을 전하는 납폐와 폐백을 비교해보려고 한다. 먼저 혼담(婚談)은 신랑측에서 신부측에 청혼하고 신부측에서 허혼 하는 절차이니, 전통혼례에서는 이를 양가에서 예의와 정성을 다해 서식으로 주고받았다. 그러나 요즈음에는 연애결혼이 대부분이고 당사자의 의사가 존중되는 시대이므로 대부분 서식에 의한 청혼이나 허혼 대신 직접 찾아뵙고 구두로 청혼하고 허락을 받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납채(納采)란 오늘날의 약혼에 비유될 수 있겠다. 청혼을 하고 허혼을 하여 혼인이 결정되면 결정된 혼인에 대하여 약속하는 절차이니 신랑측에서 신부측에게 청혼을 허락해 준데 대한 감사의 뜻과, 신랑의 생년월일시를 간지로 적은 `사주(四柱)`와, 신부측에서 혼인 날짜를 정해줄 것을 청하는 것으로, 런 취지의 `사주(四柱)` `사성송서(四星送書)` `납채서(納采書)`를 함께 보내는 것이다. 요즈음에는 때에 따라 신부측에서 자리를 마련하여 `약혼식`이라는 이름으로 의식을 갖기는 하지만 그 의미와 내용이 많이 달라졌고, 이 또한 생략하는 것이 추세이기도 하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아직 `사주((四柱)`만은 보내기는 하지만 그 절차나 보내는 시기가 많이 달라졌다.
납길(納吉)은 납기(納期)라고도 하는 것으로 요즘의 택일하는 절차이니, 신부측에서 혼인날짜를 정해 신랑측에게 알리고 신랑측에서는 이 혼인날짜에 대한 가부를 다시 회신하는 절차이다. 신부측에서 혼인 날짜를 정해 보낸다는 내용과 신랑측에서 신부를 맞이하여 주는 것에 대한 감사와 자신의 딸에 대한 겸손의 취지를 담은 편지인 `납길서(納吉書)`와 `연길서
참고 자료
○ 가정의례백과, 한국전통의례연구회 편, 일송미디어, 1998
○ 김정희이춘자?김귀영?박혜원, 사진 배병석, 통과 의례 의식, 대사
○ 생활개혁실천범국민협의회, 건전 혼례문화 길라잡이, 2001
○ 이춘배, 현대인을 위한 신 가정의례백과, 가원, 1998
○ 장철수, 한국의 관혼상제, 집문당,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