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르케임은 범죄행위를 직접적으로 분석하지는 않았지만 사회변동과 사회구조를 법과 범죄, 그리고 처벌 등의 현상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산업사회에서 사회통 합의 해체나 무질서를 반영하는 것으로서 자살이나 범죄현상을 다루었다. 뒤르케임의 범죄이론을 사회적 유대(social solidarity)와 법, 범죄 및 처벌에 대한 입장, 그리고 자살율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1. 분업과 사회적 유대, 그리고 법
뒤르케임은 「사회분업론」에서 사회변동과정에서의 분업의 기능과 분업에 의한 새로운 사회적 유대의 가능성을 찾았다. 그는 단선적인 진화론적 입장에서 유럽 사회가 전통사회에서 산업사회로 전환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사회변동에 서 사회적 노동분업은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분업의 증가는 문명화과정에서 피할 수 없는 과정으로 이해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분업은 사회에서 분화된 전 문적 영역만을 양산한 것이 아니라 사회적 유대를 형성하는 역할도 하였다. 분업이 비록 기존 사회의 사회적 유대를 변화시켰지만, 새로운 유형의 유대를 형성하였다는 것이다. 뒤르케임은 이러한 분업에 의한 사회적 유대의 존재와 그러한 유대가 사회의 전반적인 통합에 어느 정도 기여할 것인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업이 불가피한 것이라면 분업에 의한 바람직한 사회적 유대의 모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뒤르케임은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실증주의적인 방법론을 도입하였다. 사회적 유대는 그 자체로서는 직접적으로 관찰되거나 측정될 수 없는 완전한 정신적인 현상이다. 따라서 뒤르케임은 추상적인 사회적 유대를 분석하기 위하여 직접적으로 관찰될 수 있는 외현적인 지표를 제안하였다. 그것이 바로 법(law)이다. 법은 비물질적인 성격을 갖지만, 지각할 수 있는 지표의 성격도 갖고 있다. 이러한 법 은 사회적 유대를 반영하며, 인과적 관계는 아니지만 공변적인 관계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는 법의 형태를 분류하고, 그러한 법에 상응
참고자료
· - 김훈, 에밀 뒤르케임의 도덕적 현상의 사회학(석사논문), 연세대학교, 1982
· - 김종엽, 연대와 열광 - 에밀 뒤르켐의 현대성 비판 연구, 창작과 비평사, 1998
· - 민문홍, 사회비평 - 에밀 뒤르케임과 도덕적 사회주의, 사회비평 제3호, 1989
· - 민문홍, 에밀 뒤르케임의 사회학 1장~3장, 아카넷, 2001
· - 주악원, 사회학의 역사, 교육과학사, 1990
· - Anthony Giddens, 에밀 뒤르케임의 연구 , 한길사, 1981
· - Emile Durkheim, 자살론, 청아출판사, 1994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