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화진 「쇳물처럼」, 방현석 「새벽출정」, 공지영 「동트는 새벽」
이 세작품을 비교 분석하고
시대적 상황과 결부하여 고찰한 레포트 입니다
도움이 많이 되실꺼예요 ^^ A+자료^^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1980년대 사회적 배경
2. 1980년대 노동소설 양상
1) 1980년대 노동소설 맥락화
2) 좌절과 승리의 교차
3. 1980년대 한국의 여성노동운동
1) 1980년대 여성노동문제의 특질
2) 여성 노동자의 정체성과 노동 운동의 한계
4. 우리가 생각해 보아야 할 현실
Ⅲ. 결론
Ⅳ. 토론거리
본문내용
Ⅰ. 서론
1970년대 말과 1980년대 초는 산업화와 고도성장이라는 급격한 사회변화에서 한국대학생들은 ‘대학교육이 대중화 되는 과정’에서 대학생활을 했다. 1980년에 이른바 ‘7ㆍ30 교육개혁’, 그리고 1987년까지 시행된 ‘졸업정원제’는 이전까지 선택받은 계층으로 간주된 대학생들의 특권적 지위를 흔들어 놓았기 때문이다. 정권은 자본주의 사회 시스템에서 학력 자본의 약화로 대학졸업이 보장해 줄 수 있는 입지를 축소시켰고, 1980년 5월 광주를 억압했다.
한편 1983년 학원자율화조치는 대학 내에서 상대적 자유의 숨통을 틔어주었고, 학생활동가들은 노동운동가와 조직적으로 연대하기 시작했다. 1980년 초 경인지역의 노동야학과 대학생들의 공활(방학을 이용해 공장에 취업하는 활동)이 이뤄졌으며 더 나아가 대학생들은 적극적으로 학생신분을 버리고 노동현장에 투신하기도 했다.
이 시기의 노동현장과 문학의 만남으로 이루어진 노동소설은 이러한 노동현장에 투신한 대학생출신의 작가들에 의해 씌어졌다. 실제로 정화진은 서강대학교 영문과 출신이었고, 방현석은 중앙대 문창과 출신이였으며, 공지영은 연세대 영문과를 다녔다. 이들 대부분은 대학생이라는 신분을 버리고 노동현장에 투신한 경험을 갖고 있었으며, 노동현장에서 소설을 창작해 소설을 발표하기도 했다. 최초 대학 진학시 문학 전공을 희망했다가 자기 결단을 통해 노동운동에 투신했던 이들이 다시 소설을 통한 운동의 실천으로 접어든 것이다. 이들은 ‘소설을 통한 운동의 다원적 전개 가능성’을 발견하고, 1980년대 후반 노동소설의 양적 팽창에 부응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들이 쓴 소설을 중심으로 이들이 어떤 체험으로 현실과 문제를 묘사하며 극복하고자 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당시 상황을 살펴보고, 이를 현재와 결부시켜 논의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강인순, 『한국여성노동자운동사 2』, 한올아카데미, 2001.
김귀옥,『1980 년대 민주화운동 참여자의 경험과 기억』,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7.
고영직, 「80년대 민중문학과 문학적 정의」, 『20세기 한국소설 46』, 2006.
백낙청, 『한국문학의 현단계』, 「1983년의 무크운동」, 창작과 비평사, 1984.
안승천, 『한국 노동자 운동, 투쟁의 기록』, 박종철출판사, 2002.
오창은, 「1980년대 노동소설에 대한 일고찰」, 『어문연구』, 어문연구학회, 2006.
이건복, 『여성과 노동』, 동녘문고, 1985.
이원보, 『한국노동운동사 100년의 기록』,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