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외교에 있어서 햇볕정책의 의의와 내용
- 최초 등록일
- 2008.11.09
- 최종 저작일
- 2008.03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햇볕정책의 내용과 그 의의와 동북아시아와 우리나라에 미친 영향.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햇볕정책의 주요내용과 의의
2. 햇볕정책의 대내외적 영향
1) 남북한관계
2) 동북아 국제정치
3. 햇볕정책의 한계와 향후 대북정책의 방향
Ⅲ결론
본문내용
Ⅰ. 서 론
한반도가 분단된 이후 ‘통일’은 우리 민족에게 있어서 이룩해야 할 중요한 목표가 되어 왔다. 통일된 독립주권 국가에서 살아가는 국민들은 민족의 분담이라는 비정상적인 상태의 국가에서 살고 있는 국민들의 아픔과 괴로움을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다. 우리나라는 해방과 분단이라는 비극 후 남한에서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으로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루어 내었고 그리고 민주화 정착 역시 이루어 내었다. 휴전 후 남한의 국가 목표였던 경제성장, 민주화, 통일 정책 중 앞선 두 가지는 빠른 시일 내 이룩했지만 마지막 통일이라는 목표는 아직 까지 해결하지 못하는 숙제로 남아있다. 오늘날에 남한의 외교정책의 역사 중 통일외교의 역사는 그리 오래 되지 않았고, 대한 민국 정부수립 이후 여러 단계를 거쳐서 변화 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문민정부와 장면 정부에서는 통일외교정책이 거의 없었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며 그 이후 군사정부 시기는 통일외교정책이 공화국에 따라 각기 다른 내용을 담은 통일정책이 있기는 하였다. 1980년대 후반부부터 1990년에 들어서 급작스럽게 변하는 탈냉전이라는 국제정세와 예상치 않았던 독일의 통일로서 우리나라에서도 정부와 민간 할 것 없이 국민 모두 사이에서 그 동안 사실상 뜸했던 통일에 대한 기대와 논의가 한껏 부풀려지는 환상을 가져다주었다. 그 후 십여년이 지난 오늘 냉정을 되찾고 통일의 대한 바램이 아직 유효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우리는 한반도의 통일이 마치 독일의 경우처럼 탈냉전과 함께 굴러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통일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 기울여야만 할 것이다. 전세계의 우리나라와 처지가 비슷했던 독일의 통일을 위한 어떠한 외교정책적 노력을 기울였는지 살펴보고 교훈으로 인식해야 한다. 전에는 한반도의 통일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참고 자료
▶조선일보 1998년 7월 17일
▶백학순(편) ‘남북한 통일외교의 구조와 전략’세종연구소 1997
▶여인곤 외, 21세기 미중일러의 한반도 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 2003, 통일연구원
▶이원섭, 햇볕정책을 위한 변론, 2003
▶해외 한민족과 차세대 제 3집, 계명대학교 아카데미아 코리아나, 1999
▶김강녕, 동북아국제정치와 한반도, 2002
▶정득주 외, 대외정책론 2003
▶통일부, ‘2001년도 통일교육기본지침서’ 2000. 12.
▶통일시론, 2000년 여름호, 청명문화재단.
▶국제문제, 1999 3월 30권 3호 국제문제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