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정척사상과 의병전쟁(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08.11.08
- 최종 저작일
- 2006.04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위정척사상과 의병전쟁에 대한 17페이지 분량의 보고서 입니다.
위정척사사상의 개념, 기원, 시초, 전개에 대하여 사료와 사진을 첨부하였고
의병전쟁을 시기별로 분류하여 사료와 사진을 첨부하였습니다.
목차
Ⅰ. 위정척사 사상
1.위정척사 사상의 정의
2. 위정척사사상의 기원
3. 위정척사운동의 시초
4. 위정척사파의 시대적 반발
5. 의의와 평가
6. 위정척사사상의 개괄적 흐름
Ⅱ. 의병전쟁
1. 의병전쟁 1기 ‘을미의병(乙未義兵)’
2. 의병전쟁2기 - 을사의병(乙巳義兵)
3. 항일 의병 전쟁 3기- 정미의병(丁未義兵)
Ⅲ. 결론
1. 위정척사사상
2. 의병전쟁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위정척사 사상
1.위정척사 사상의 정의
의미 : 정학(正學)을 지키고 사학(邪學)을 배척하는 유교의 이념을 대변하는 사상.
계층 : 지방 봉건 유생층
2. 위정척사사상의 기원
중국 송나라의 주자는 여진족의 침략으로 한족과 중국의 문화가 위기에 놓이자, 이를 지켜내기 위해 중화로서의 유교의 정통성을 강조하고, 존왕양이의 춘추대의로 이민족을 응징할 것을 말함으로써 화이(華夷) 사상을 기초로 한 위정척사론을 체계화했다.
3. 위정척사운동의 시초
우리나라에서 척사론이 나온 것은 고려 말, 조선 초 불교를 배척하면서부터이다. 위정척사 사상은 호란 이후의 숭명반청(崇明反淸)사상을 계승한 것으로, 의리와 도덕성을 강조하는 우리의 유교문화를 정으로 수호하고, 힘의 논리를 앞세우는 서양과 일본문화를 사로 규정하여 배척했다. 그 배척의 대상은 처음에는 청이었고, 다음에는 무력과 천주교를 앞세운 서양으로 확대되었다. 즉, 영 정조 시대 이후에 천주교의 전래로 기존의 사회질서가 위협받게 되자, 유학자들은 이에 대한 대응 논리로 위정척사를 내세웠다. 즉, 중화 사대사상이 깔려 있는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보수적 성격을 가지는 것이었다.
4. 위정척사파의 시대적 반발
(1) 병인척사(1860년대) - 통상반대운동
시대적 배경
정부의 대외통상정책은 외국인의 특권과 외국상품의 범람을 직접 목격하고, 그 피해를 체험하던 지방민, 특히 서울근교 유생들의 위기감을 고조시켰다. 그들은 종전의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도덕중심의 유교문화를 바꿔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였다. 오히려 군대와 산업문화를 앞세운 서양과 일본의 침투가 비도덕적이고 야만적으로 보였으며, 그들과의 교섭은 장차 조선을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 파멸로 이끌 것으로 예견하였다. 따라서 비도덕적인 일본이나 서양과의 교섭보다는 이들의 상품과 문화를 배격하고 이들과 싸우다 죽는 것이 가장 정의로운 일로 인식되었다. 이른바 위정척사의 논리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