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개념
2. 본론
- 1) 국내성공사례
2) 해외성공사례
3) 스토리텔링 있는 마을 만들기
성공사례 분석
4) 제주도의 마을만들기 방향에 대한 제안
3. 결론
- 맺음말
본문내용
1. 서론
-개념
지난 수십년간 우리나라는 세계에 유래가 없는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를 겪으면서 도시를 조성하는데 있어서 ‘질’보다는 ‘양’에 힘을 써왔다. 그동안 사람이 살기위해 필요한 시설물 중심의 도시를 만들어 왔다. 도시의 환경이나 사람이 살아가는데 있어 쾌적하고 윤택한 것을 제공하는데 있어 소홀하게 여겨왔다. 하지만 최근 ‘웰빙’의 추세가 발전되면서 환경에 대한 인식도 높아지고 도시에 대한 생각이 달라지면서 자연을 조성해 사람들의 정서를 풍요롭게 하거나, 편리성만 추구해 세웠던 시설물 설치에서 환경을 고려하는 시설과 프로그램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이 가치변화와 새로운 요구에 부응하고자 국가적으로 ‘살기좋은 도시’ ‘살기좋은 마을’ 만들기에 골몰하고 있다. 하지만 ‘살기좋은’에 대한 해석과 생각이 저마다 다르고 자연을 어떻게 활용해야 사람과 자연 모두가 윈-윈 할수 있는가에 대한 명확한 답이 없다. 살기좋은 곳이라는 것이 어떻게 무엇을 담아야 살기 좋은 곳인가? 어떤 문화와 환경을 지닌 곳이 살기 좋은 곳인가? 지역주민들이 무엇을 통해 살기 좋은 곳이라고 말할 수 있는가? 에 대해 여러 방법으로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지난 시간 우리가 살아왔던 우리마을과 달리 현재 살기좋은마을로 선정된 그 마을들의 사례를 살펴보고 살기좋은 마을로 선정된 마을을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누구나가 공감할수 있는 살기좋은 마을이 될 수는 없을 것이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살기좋은 이라는 의미에 대해 저마다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사례 조사와 살기좋은 마을에 대해 알아보면서 모두가 공감을 할수 없을지라도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그 무엇인가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가지고 임하고자 한다. 빡빡하고 바쁘게 돌아가는 시대에 살기좋은 이라는 단어를 잊어가며 살아 온 지도 모른다. 하지만 현대시대의 사람들은 수준 높은 사람들로서 양 보다는 질을 우선적으로 하며 전체적인 국민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이전시대에 먹고 사는것에 바빴던 사람들이 아닌 삶의 질을 생각하며 사는 사람들이 되었다.
참고자료
· 가와바타 야스나리, 설국, 민음사(2002)
· 강수돌, 지구를 구하는 경제 책, 봄나무(2005)
· http://www.saemaul.com/newspaper/news_img/news/253-07.ps.PDF
· http://211.118.202.130/pdf/2008/02/28/20080228-16.pdf
· http://www.saemaul.com/newspaper/news_img/news/229-07.PDF
· http://blog.daum.net/jungbangi
· http://www.saemaul.com/newspaper/news_img/news/237-05.PDF
· http://www.ytn.co.kr/article/article_view.php?key=200705260925131360&s_mcd=0933&s_hcd=03
· http://www.kado.net/bbs/list.html?table=bbs_13&idxno=5350&page=4&total=260&sc_area=&sc_word=
· http://www.kyeongin.com/news/articleView.html?idxno=321024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