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학교도서관의 의의와 기능
(1) 학교도서관의 의의
(2) 학교도서관의 기능
2) 홍보의 의의
(1) 홍보의 개념
(2) 홍보의 필요성
3) 학교도서관 홍보의 성격, 대상과 홍보활동 전략
Ⅱ. 학교도서관 개선 및 홍보방안
1) 학교 도서관 사서 배치
2) 인쇄 매체를 통한 홍보
3) 교내 설치물, 홈페이지를 통한 홍보
4) 학생의 자발적 참여 유도
5) 교과과정 수업 지원 협력
본문내용
Ⅰ. 학교도서관의 의의와 홍보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학교도서관의 의의와 기능
(1) 학교도서관의 의의
학교도서관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및 이에 준하는 각종 학교에 설치되어 학교교육의 목적 달성을 지원하는 교육시설 중 하나로, 각종 자료를 수집 → 정리 → 분석 → 보존 → 축적하여, 학생과 교사의 이용에 제공함으로써 정보이용, 조사, 연구, 학습, 교양 등 학교교육과 평생교육 및 문화발전에 기여하는 도서관 또는 도서실을 말한다.
도서관 및 독서 진흥법 제34조에서는 학교도서관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학교도서관의 업무를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① 학교교육에 필요한 자료의 수집, 정리, 분석, 보존, 축적이용,
② 독서 및 도서관 이용의 지도,
③ 시청각자료의 개발, 제작, 이용의 지원
④ 기타 학교도서관으로서의 기능수행에 필요한 업무로 규정하고 있다.
(2) 학교도서관의 기능
학교도서관의 교육적인 역할은 그 모체 기관인 학교의 교육활동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미국의 ALA(American Library Association) 9조 ALA(1984), School Libraries for Today and Tomorrow, p. 9-10 (유진 (2007), ‘학교도서관의 홍보활동 방안에 관한 연구’ 대진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에서 인용, p. 9)
에 명시하고 있는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은 `학교의 교육계획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며, 학생, 교사, 학부모, 기타 지역사회 사람들에게 도서자료의 이용방법에서부터 이용자의 자립적인 비판력, 감상력을 길러 개개인의 지적, 정서적 성장 발달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학교도서관은 학교교육의 성공적 달성을 지원하는 것이고, 따라서 학교도서관이 목적은 도서관이 가진 기능을 학교교육의 목표와 일치시켜 최대한 발휘하는데 있다. 학교도서관 길라잡이에서 학교도서관의 목적달성을 위해 다음 5개의 영역이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참고자료
· ALA(1984), School Libraries for Today and Tomorrow
· 서울특별시 교육청(2001), 학교도서관 길라잡이
· 윤희중, 신호장 편저(2000), PR 전략론, 서울: 책과 길
· 오두범(1991), PR 커뮤니케이션, 서울: 나남출판사
· 유진(2007), ‘학교도서관의 홍보활동 방안에 관한 연구’ 대진대 교육대학원
· 권은경(1987), `도서관 경영에 있어서 마케팅 도입에 관한 연구`, 도서관학논집, Vol. 14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