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제주4.3항쟁의 발생 배경과 전개과정, 항쟁의 탄압과정에서 나타난 초토화작전과
그 안에 담겨진 이념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본 글 입니다.
목차
Ⅰ. 序 論
Ⅱ. 4․3 항쟁의 배경과 전개
1. 4․3 항쟁의 배경
2. 4․3 항쟁의 전개
1) 4‧3의 시기 구분
2) 4‧28평화회담과 5‧10단독선거 반대투쟁
Ⅲ. 4‧3항쟁의 민간인학살
1. 초토화작전의 배경
1) 국내의 정치상황
2) 미국의 대한정책
3) 초토화의 배경
2. 민간인학살의 실상
1) 4·3의 인명피해
2) 민간인학살 시기의 인명피해 실태
Ⅳ. 민간인학살의 문제점
1. 민간인학살의 개념과 유형
2. 대표적 민간인학살의 예
1) 나치 독일의 민간인학살
2) 보도연맹원 학살사건
3. 4‧3 민간인학살의 이데올로기
Ⅴ. 結 論
*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序 論
분단정권의 수립으로 귀결된 해방 전후의 한국현대사에서 제주4·3항쟁은 5·10단독선거를 저지한 유일한 투쟁이었다. 그러나 투쟁의 대가는 참혹했다. 제주도민 10분의 1에 가까운 인명이 희생되었고 40여년에 걸친 침묵과 금기의 시간이 이어졌다. 그동안 반공국가의 공식역사는 4·3항쟁을 공산폭동으로 규정함으로써 항쟁의 기억을 철저히 파괴했다.
전쟁에서 승리한 측이 학살의 가해자일 경우에는 학살의 모든 기억들이 조직적으로 은폐된다. 기억은 조작되고 학살의 역사는 반대로 승리의 신화로 정착된다. 제주4·3도 예외는 아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진상규명 작업은 군사정권에 의해 오랫동안 억압당했으며, 관련자들은 옥고를 치르거나 입을 다물었고 관련기록들은 폐기되었으며, 공식석상에서 4·3을 언급하는 것이 금기시 되었다. 그리고 이 후 오랫동안 중·고교 교과서에서 4·3은 북한의 사주에 의한 공산폭동이었다.
이러한 폭동설은 1999년 12월 16일 국회본회의에서
참고 자료
제주4·3사건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제주 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 2003
역사문제연구소 外,『제주4.3연구』, 역사비평사, 1999
제주4‧3연구소,『4‧3증언 자료집』, 한울, 1989
제민일보 4·3취재반,『4·3은 말한다』전5권, 전예원, 1994
최호근,『제노사이드-학살과 은폐의 역사』, 책세상, 2005
최호근,『서양현대사의 블랙박스, 나치 대학살』, 푸른역사, 2006,
김동춘,『전쟁과 사회』, 돌베게, 2001
B. Valentino지음; 장원석ㆍ허호준 역,『20세기의 대량학살과 제노사이드』, 제주대출판부, 2006
양정심,「제주4·3항쟁 연구」, 성균관대박사논문, 2005
함옥금,「제주4·3의 초토화작전과 대량학살에 관한 연구: 미국의 역할과 책임을 중심으로」, 제주대석사논문, 2004
허호준,「제주4·3의 전개과정과 미군정의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5·10 선거를 중심으로」, 제주대석사논문, 2003
강성현,「제주4·3학살사건의 사회학적 연구: 대량학살 시기(1948년 10월 중순-1949년 5월 중순)를 중심으로」, 서울대석사논문, 2002
양봉철,「제주경찰의 성격과 활동 연구: `제주4·3`을 중심으로」, 성균관대석사논문,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