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법과 구조문법, 변형문법(변형생성문법)을 비교하여 분석한 레포트입니다.
각 연구의 역사와 흐름을 기술하고 특징과 한계를 비교하였습니다.
목차
1. 서론
2. 전통문법
(1) 전통문법 연구의 역사
(2) 전통문법의 특징과 한계
3. 구조문법
(1) 구조문법 연구의 흐름
(2) 구조문법의 특징과 한계
4. 변형생성문법
(1) 변형생성문법 연구의 흐름
(2) 변형생성문법의 특징과 한계
5. 전통문법, 구조문법, 변형생성문법의 비교
6. 결론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간은 언어를 사용하는 동물이라고 한다. 그만큼 인간에게 있어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의 비중이 높다는 뜻이다. 언어를 통해 인간은 방대한 지식을 후세에게 전달해왔으며 만물의 영장이라는 지위 또한 문자언어를 통한 인문학, 과학의 발달에 힘입은 바가 크다.
언어를 연구한다는 것은 인류 문화 발전의 원동력을 연구하는 것이며 인류의 의사소통에 대한 다방면의 연구라고 할 수 있겠다. 언어에 대하여 과학적인 연구를 하는 학문을 언어학(liguistics)이라고 하고, 언어학자들이 언어구조를 파헤쳐 뜯어보고 언어의 내적인 구조에 관한 기술을 한 것이 그 언어의 문법(grammar)이다. 언어를 연구하는데 있어 문법과 문법 연구는 언어 자체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언어에 대한 연구는 플라톤에서 시작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유길준(1906)으로부터 그 효시를 찾을 수 있다. 플라톤에서 시작된 연구는 그 후 본격적으로 발달하여 소위 전통문법(traditional grammar), 구조문법(structural grammar), 변형문법(transformaional grammar)으로 이어져오면서 하나의 주요한 현대학문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박영순, 현대 한국어 통사론(집문당, 1987), 37쪽.
다음 장에서는 이 문법에 대한 논의의 흐름과 특징, 한계를 살펴보고 각각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2. 전통문법
(1) 전통문법 연구의 역사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Platon, BC429-347)은 언어가 자연의 지배를 받는다고 보고 모든 단어는 그것이 지시하는 사물과 필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고 믿었다. 그리고 단어를 명사(Onoma)와 동사(rhẽma)의 이품사로 분류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BC 384-322)는 언어가 언중들의 협약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믿었으며, 호머(Homer)의 문집 일리아드(Illiad)와 오디세이(Odyssay)를 연구하기 위하여 언어 구조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는 文 또는 논리적 범주라고 할 수 있는 ‘logos`를 플라톤이 설정한 명사와 동사 외에 접속사(sýndesmoi)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었다고 보았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