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金方》,下同]
천금방 처방이니 아래가 같다.
治兩腳痺弱,或轉筋,皮肉不仁,腹脹起如腫,按之不陷,心中惡,不欲食,或患冷。
양쪽 다리가 마비되며 약하며 혹은 전근이 있고, 피부와 살이 마비되며, 복부창만으로 붓듯이 일어나며 누르면 꺼지지 않고, 심장 속이 싫어하여 음식먹으려고 하지 않고 혹은 냉질환을 앓음을 치료한다.
竹瀝五升甘草秦艽葛根黃芩麻黃防己細辛桂心乾薑各一兩茯苓三兩防風升麻各兩半附子二枚杏仁五十枚.
죽력 5되, 감초, 진교, 갈근, 황금, 마황, 방기, 세신, 계심, 건강 각 40g, 복령 120g, 방풍, 승마 각 60g, 부자 2매, 행인 50매이다.
水七升,合竹瀝,煮取三升,分三服,取汗。
물 7되를 죽력에 합하여 달여 3되를 취하며 3번 나눠 복용하며 땀을 낸다.
《千金翼方》無茯苓、杏仁,有白朮一兩。
천금익방에는 복령, 행인이 없고 백출 40g이 있다.
第二大竹瀝湯
제이대죽력탕
治卒中風,口噤不能言,四肢縱緩,偏痺攣急,風入五臟,恍惚恚怒無常,手足不隨。
졸중풍으로 입을 벌리지 못하여 말하지 못하며 사지가 늘어지며 편마비로 경련으로 급하며 풍사가 5장에 들어가서 황홀하며 분노하여 일상적이지 않고 손발을 쓰지 못함을 치료한다.
竹瀝一斗四升獨活黃芩防風茵芋生甘草白朮土炒葛根細辛白芍藥芎藭各二兩烏頭一枚桂心防己人參石膏麻黃生薑茯苓各三兩以竹瀝煮取四升,分六服。
죽력 1말4되, 독활, 황금, 방풍, 인우, 생감초, 흙으로 볶은 백출, 갈근, 세신, 백작약, 궁궁 각 80g, 오두 1매, 계심, 방기, 인삼, 석고, 마황, 생강, 복령 각 120g, 죽력을 달여 4되를 취한 것을 6번 나눠 복용한다.
先未汗者取汗,一服相當即止。
먼저 땀이 없으면 땀을 내며 한번 복용함에 상당하면 그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