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관 비굴착 보수공법 상하수도 공학 설계
- 최초 등록일
- 2008.10.17
- 최종 저작일
- 2008.09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토목공학-상하수고공학-하수관거 비굴착 보수공법이란 주제에 대한 리포트
목차
1. 서론
1.1 하수도의 정의
1.2 우리나라 하수도 현황
2. 하수관거 보수공법
2.1 비 굴착 보수공법의 도입 배경
2.2 비 굴착 보수공법이
2.3 비 굴착 보수공법의 종류
2.3.1 교체 (Replacement)공법
2.3.2 갱생 (Renovation)공법
2.3.2.1 전체보수 절차
2.3.2.2 부분보수 절차
2.4 굴착 보수공법과 비 굴착 보수공법의 비교
3. 사례
3.1 비 굴착 보수공법이 적용되는 사례
3.2 서울시 용산구
3.3 익산시
4. 결론
4.1 비 굴착 보수공법의 문제점 및 대안
4.2 기술적, 경제적 파급효과
5. 참고문헌
[그림 1]
[그림 2]
[표 1]
본문내용
1. 서론
1.1 하수도의 정의
하수관거의 역사를 살펴보면 그 유래는 기원전부터 시작되었고 근대식 하수관거는 1370년대에, 개별 하수도를 통합하여 하나의 관망 개념으로 해석하는 현대식 하수관거는 1850년대부터 이미 시작되었다. 그만큼 하수관거 시설은 인간의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중요한 국가 기반시설인 것이다. 이제 21세기 하수도는 지금까지와는 달리 하수도의 자원화 개념을 도입하여 도시로부터 24시간 연속해서 유기물, 영양염류, 열에너지 등을 포함한 폐자원(하수)을 모아들이는 유일한 수집통로로 정의하는 추세다.
하수도는 기본적으로 홍수를 도시로부터 침수 등의 재해발생 없이 원활하게 배제하여야 한다. 여기에 오폐수 및 이에 포함된 고형물질을 침전시키지 않고 하수처리장까지 수송할 수 있어야한다. 그러나 하수관거는 항상 지하의 습기와 급격한 온도변화에 노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토압, 수압, 활하중 등의 상재하중이 가해지는 상태로 있기 때문에 지상의 다른 시설물보다 노화의 진행정도가 빠르다.
1.2 우리나라 하수도 현황
우리나라의 하수관거는 누수, 통 수능 부족, 파손 등으로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불량 관거가 다수 존재하고 있다. 서울특별시에서도 농어촌 개발공사에 용역을 주어 보고된 ‘서울시 지하수 보고서’에서 하수도의 총길이가 9,500km로서 5km 간격으로 파손되었고 지하수가 88%나 오염되었으며, 그 중 16%는 허드렛물도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발표가 있으며 오염 원인이 파손된 곳으로 오폐수가 새어나가는 것과 곳곳에서 벌어지는 땅파기공사로 인해 오염된 물이 지하로 유입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현재까지 드러난 우리나라 하수도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 종말하수처리장이 충분히 건설되기 이전에 부득이 주택 및 건물별로 분뇨 정화조를 설치한 것으로 인해 현재 분뇨가 하수관거로 직 투입되지 못하여 처리장 유입수질의 빈 영양을 초래하고 있다.
둘째, 저가 입출로 인해 시공업체가 공사비절감차원에서 불량 재질의 하수관거를 사용하고 눈에 보이지 않는 지하 구조물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불량 시공 및 감독의 소홀로 하수관거가 부실 시공되었다.
참고 자료
황규대 민병헌 대한 토목학회지 제 47권 제11호 1999년 11월 특집기사-하수관거의 보수보강공법p22-33
백창민 기자 전라일보 2004년 5월 29일 토요일 -불편은 최소 효과는 최대
황환국 건설기술정보 2001년 6월 특집 -불량 하수관거의 정비방향 p46
봉화토건(합자) 건설신기술소재(제70호) 열공기를 이용한 하수관로 무굴착 보수공법
한국 건설 기술 연구원
정철권 박규홍 하수관거 정비의 필요성 및 추진방법
http://blog.naver.com/seyoungchoi/1200063550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