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티어의 경험적 가족치료
- 최초 등록일
- 2008.10.13
- 최종 저작일
- 2003.05
- 3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가족치료 이론중 경험적 가족치료입니다
목차
Ⅰ. 경험적 가족치료 흐름 및 소개
Ⅱ. 주요 인물과 이론적 틀 1
. Satir의 성장모델과 인간관
1. Carl Whitaker
2. Satir 모델의 주요 핵심 개념
2. Virginia Satir
3. 변화와 변형과정
3. Walter Kempler 4. 치료목표
4. David Keith, Fred and Bunny Duhl
5. 치료과정
6. 정리 및 평가
Ⅲ. 치료목표
Ⅳ. 치료이론 및 결과의 평가
Ⅴ. Satir 모델의 기본 정의와 신념
※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경험적 가족치료 흐름 및 소개
경험적 가족치료 분야는 1960년대의 인본주의적 개인심리치료와 같이 즉시적이고 지금 - 여기의 경험을 중시하는 인본주의 심리학의 영향으로 태어났다. 진행되는 경험의 질은 심리적 건강의 준거와 치료적 개입의 초점이었다. 경험적 가족치료사들은 감정표현을 공유된 경험의 매개이며 개인적이고 가족적인 충족의 방법이라고 보았다.
경험적 가족치료사들은 형태치료와 참만남 집단에서 기법을 많이 빌려왔으며, 조각하기나 가족그림 같은 표현적인 기법들은 예술과 심리극의 영향을 받았다. 경험적 치료는 민감성과 감정표현을 강조하기 때문에 체계와 행동을 다루는 접근으로서는 적합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족 내에서의 정직한 감정표현의 경험적 강조는 해결중심적 접근이나 이야기 치료의 환원적인 인지를 강조하는 점과 대치되는 가치 있는 평형추이다.
Virginia Satir와 Carl Whitaker의 죽음은 경험적 가족치료의 영감 있는 천재성을 앗아갔지만 그들의 영향은 Walter Kempler, August Napier, David Keith, Fred and Bunny Duhl의 활동을 통해서 살아있다. 이들과 그 외의 경험주의자들은 가족치료사들이 유용하다고 발견한 표현적 기법을 가르치고 실습하고 있다.
Ⅱ. 주요인물과 이론적 틀
1.Carl Whitaker
Carl Whitaker는 경험적 가족치료의 거장이며 무책임과 위장을 들춰내고 가족구성원이 그 자신이 되도록 자유롭게 하는 직관적 접근을 이끈 대표자이다.
Whitaker는 Emory 대학에서 심리학 과장으로 일했고 1955년 Atlanta Psychiatric Clinic을 설립하였다. 그는 여기서 경험주의적 가족치료를 만들고 많은 도전적인 논문을 발표하였다. 1965년 이후 그는 Wisconsin 의과대학에서 일했고 Madison에서 개업했다.
참고 자료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편(1995), 가족치료총론, 동인.
송정아최규련 공저(1997),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 동인.
송성자(1997), 가족과 가족치료, 법문사.
김유숙(1999), 가족치료, 학지사.
김용태(2000), 가족치료 이론, 학지사.
교육자료(2001), 사티어 성장모델 가족치료 워크샵, 한국 사디어 성장모델 연구소.
한국 버지니어 사티어 연구회 역(2000), 사티어 모델, 김영애 가족치료 연구소.
심혜숙 외 공역(2002), 가족치료 - 개념과 방법, 시그마 프레스
http://satircentresingapore.tripod.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