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신 문헌고찰 - SPR.목차
Ⅰ. 서 론<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정신분열병 Schizophrenia>
1. 개념
2. 역사
3. 진단체계의 분류
1) ICP-10
① 1개월의 증상지속기간
② 전구증상이 아닌 명백한 정신증적 증상으로 한정
③ 정신분열증 후 우울증과 단순형으로 구분
위 세가지 기준에 따라 편집형(paranoid), 혼란형(hebephrenic), 긴장형(catatonic), 미분화형(undifferentiated), 정신분열증후우울증(post-schizophrenic depression), 잔재형(residual), 단순형(simple), 기타(other)로 분류하였다.
2) DSM-Ⅳ
① 특징적 증상, 망상, 환각, 혼란스러운 언어, 행동, 음성증상, 의욕 없음
② 사회/ 직업적 기능장애
③ 최소 6개월이상 질병 징후 지속
④ 분열정동 장애, 기분장애 배제
⑤ 물질, 일반 의학적 상태로 인한 질병 배제
⑥ 전반적 발달단계와의 관계 : 다른 전반적인 발달장애가 있으면 현저한 망상이나 1개월 이상 환각이 존재해야 함.
4. 역학
5. 병태생리/ 원인
1) 유전적(genetic) 소인
2) 신경생물학적 가설(neurobiologic hypotheses)
3) 발달적 소인 가설
4) 신경발달적 소인
6. 임상양상
1) 사고의 장애
2) 언어의 장애
3) 행동의 장애
4) 지각장애
5) 신체적 증상
6) 인간관계 장애
7) 정서의 장애
7. 정신분열병의 유형
1) 망상형
4) 긴장형
5) 미분화형
8. 치료
1) 약물요법
▷ 약물투여의 지침
-2) 환경요법
3) 행동요법
4) 전기충격요법 및 기타 생물학적 치료
5) 정신요법
① 개인정신요법
② 집단정신요법과 가족치료
9. 경과 및 예후
1) 경과
2) 예후
▷ 예후와 관계되는 요소
10. 예방
▷ 예방의 목적
< 참고문헌 >
본문내용
Ⅰ. 서 론<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급격한 과학의 발달과 기술의 진보에 따라 과거에는 크게 대두되지 않았던 정신질환 문제가 오늘날 그 심각성을 날로 더해가고 있다. 특히 전국 정신과 병,의원 입원 환자 중 약 70%를 차지하고 있는 정신분열병 환자는 정신과 병동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지만 치료는 잘 되지 않는 질병으로 간주되고 있다.
심하게 위축되어 있고 현실과의 접촉이 상실되어 있어 자신의 문제를 명확히 진술하거나 문제 해결과정에 참여하는 능력 또한 제한되어 있을 수 있는 정신분열병 환자에 대하여 이론적인 근거에 입각한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간호진단을 내림으로써 정신분열병 환자를 이해하고 정신분열병 환자에게 망상과 현실사이의 구별강화, 사회화 촉진, 활동내성의 증가, 사고 및 감정에 대처하는 능력의 증진, 안정감의 확보를 위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문헌고찰과 함께 이번 연구를 하고자 한다.
Ⅱ. 문헌고찰
<정신분열병 Schizophrenia>
1. 개념
정신분열병은 비교적 이른 나이에 발병하여 인간의 인지, 지각, 의지, 행동, 사회 활동 등 다양한 정신기능에 이상을 초래하는 질환으로서 증상뿐만 아니라 경과, 치료반응, 예후도 다양하다.
현재까지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심인성 질환이 아닌 뇌의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2. 역사
정신분열병의 출현 시기에 대하여 1800년 이전에는 드물었고, 19세기 이후 산업화 사회의 복잡다양성에 의해 발생하였다는 주장이 있기도 하지만, 고대 중국, 인도, 메소포타미아의 기록에 오늘날의 정신분열증병 증상과 크게 다르지 않는 기술이 발견된다. 하지만, 오늘날 정신분열병이라고 할 수 있는 개념의 형성은 19세기 후반에 와서야 비롯되었다.
Morel(1856)은 노인성 치매와는 달리 어린 나이에 치매가 시작되는 “조기치매”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으며 이후 Kahlbaum(1869)의 “긴장증”, Hecker(1871)의 “파괴증”과 같은 오늘날 정신분열병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Schneider의 일급 증상과 Kraepelin과 Bleuler의 정신분역병의 개념은 오늘날의 대표적인 진단체계인 ICP-10과 DSM-IV에 이르기까지 지속되고 있다.
3. 진단체계의 분류
1) ICP-10
① 1개월의 증상지속기간
② 전구증상이 아닌 명백한 정신증적 증상으로 한정
③ 정신분열증 후 우울증과 단순형으로 구분
위 세가지 기준에 따라 편집형(paranoid), 혼란형(hebephrenic), 긴장형(catatonic), 미분화형(undifferentiated), 정신분열증후우울증(post-schizophrenic depression), 잔재형(residual), 단순형(simple), 기타(other)로 분류하였다.
2) DSM-Ⅳ
① 특징적 증상, 망상, 환각, 혼란스러운 언어, 행동, 음성증상, 의욕 없음
② 사회/ 직업적 기능장애
③ 최소 6개월이상 질병 징후 지속
④ 분열정동 장애, 기분장애 배제
⑤ 물질, 일반 의학적 상태로 인한 질병 배제
⑥ 전반적 발달단계와의 관계 : 다른 전반적인 발달장애가 있으면 현저한 망상이나 1개월 이상 환각이 존재해야 함.
4. 역학
세계 전역에 실시된 정신분열병의 역학연구에서 1년 유병률은 낮게는 1,000명당 0.6%, 높게는 1,000명당 17명까지 보고되었으나, 대부분의 연구는 1,000명당 3명에서 10명 사이이다. 정신분열병의 유병율과 발병률은 서양과 동양, 선진국과 개발 도상국 등 지역, 인구 및 문화적 특성에 관계없이 대체로 일정하며, 1년 유병률은 0.5% 내외이다. 평생 발병률 0.3-3.7% 사이로 보고 되고 있는데, 대체적으로 일반 인구에서 조사된 정신분열병의 평생 유병률은 약 1%라고 보여진다. 한국의 경우 이정균 등(1976)의 보고에 의하면 평생 유병율이 서울에서 남자 0.93%, 여자 0.38%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