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건축가] _아키그램
- 최초 등록일
- 2008.10.09
- 최종 저작일
- 2007.07
- 6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1,500원
소개글
60년대 영국의 젊은 건축가들이 모여 결성한 아방가르드 그룹인 아키그램은
그 시대 9번에 걸쳐 「아키그램」잡지를 간행하면서 디자인사, 미술사, 건축사에
뚜렷한 자리를 잡은 아키그램에 활동과 그들의 작품의 연구 고찰하였습니다.
목차
1. 자유로운 공상,, 아키그램..
2. 드로잉에 의한 건축
3. 플러그인 시티 Plug-in City (피터 쿡)
본문내용
아키그램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이 없이는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을 듯 보였다. 내가 그래서 였을까? 처음부터 전
시를 둘러보면서 내 자신에게 대답 없는 질문을 해 보아야 했다. 이 건물들이 실제로 존재하는 건가? 이 건물들을 만들
수는 있는 건가? 이런 기막힌 발상은 어떻게 나왔을까? 나도 남들은 생각하지 못한 저런 생각을 해 볼 수 있을까?
공상 만화 한편을 보고 나온 듯한 기분이었다. 어릴 적에 보았던 공상만화 생각을 절로 나게 만드는 전시였다. 거대한
규모의 도시계획들도 신기했고 다양한 소품들도 눈에 들어왔다.
60년대 영국의 젊은 건축가들이 모여 결성한 아방가르드 그룹인 아키그램은 그 시대 9번에 걸쳐 「아키그램」잡지를
간행하면서 디자인사, 미술사, 건축사에 뚜렷한 자리를 잡았다. 강요된 환경질서에 존재하는 규범적인 권위주의 체계
의 가치를 부정하고 어떠한 질서도 환경계 내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전개되어야 함을 주장했으며 환경설계에 있어서 건
축가의 능력을 최소화하였다. 직관적인 예술 아르누보와 아키그램은 유사한 프로세스의 산물이다. 모두 형태를 패턴화,
체계화하기 위해 시각적인 은유를 사용하였으며, 소모품 지향하여 나중에 메타볼리즘(Metabolism)에도 영향을 준다.
아키그램 그룹에서 파생되거나 독립된 많은 사상이 등장했다. 기하학적 구조체, 이동식 구조물, 캡술 주택, 부품 키트
등 많은 아이디어가 나왔지만 그에 걸 맞는 새로운 기술이나 발전적 요소까지는 제시하지 못하였다.
1964년의 `캡슐(Capsule)`과 `플러그 인 시티(Plug-in City)`와 같은 작업으로 대표될 수 있는 그들의 작업들은 당시 크
게 유행하던 기능주의 양식을 뛰어넘어 유럽, 일본, 미국 등의 전위적 건축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를 통해 일본,
미국, 오스트리아의 건축가들은 그들의 실제적 차이에도 불구, 지속적으로 서로간의 건축적 교류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들의 작품들은 현실로 이루진 것 보다 계획안과 수많은 도면들과 드로잉을 뺴 놓을 수 없을 것이다. 이번 전시에서도
도면과 드로잉 작품들이 상당수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콜라주 기법을 이용한 드로잉방식도 그 시대에 그들 만의 새로운
표현방식이었다고 생각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