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정상 범위 관절운동 정의와 목적
- 정 의
- 관절의 자세 용어
- 목 적
Ⅱ 수동적 관절 범위 운동 정의와 목적
- 정 의
- 목 적
Ⅲ 각 부위별 정상범위 관절운동과 수동적 관절운동
⑴ 목관절
⑵ 어깨 관절
⑶ 팔꿈치 관절
⑷ 손목 관절
⑸ 손과 손가락관절
⑹ 엄지손가락 관절
⑺ 고관절
⑻ 무릎관절
⑽ 발목관절
⑾ 발과 발가락관절
⑿ 몸통관절
Ⅳ 과제후 느낀점
Ⅴ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정상 범위 관절운동 정의와 목적
정의
관절이 정상적으로 할 수 있는 완전한 운동 범위
개개인에 따라 다양하며 나이가 들수록 감소함
목적
관절의 유연성 사정
부동환자에서 관절의 운동성과 유연성 유지 목적
근육의 위축을 예방하기 위함
건 및 관절낭의 단축을 예방
· 관절의 자세
굴곡 : 두 관절 사이의 각도 감소시키는 것으로 구부리는 것
신전 : 두 관절 사의의 각도를 180°까지 증가시키는 것으로 펴는 것
과신전: 두관절 사이의 각도를 180°까지 증가시키는 것
외전 : 몸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것
내전 : 몸의 중심으로 가까워 지는 것
회전 : 중심축을 따라 옆쪽으로 돌리는 것
외회전 : 몸의 중심축으로쿠터 멀리 밖으로 돌리는 것
내회전 : 몸의 중심축을 향해 안으로 돌리는것
순화 : 원을 형성하는 것
회내 : 손바닥을 아래로 향해 돌리는 것
회외 : 손바닥을 향해 위로 돌리는 것
족저굴곡 : 발바닥을 향해 발을 구부리는 것
족배굴곡 : 발들을 향해 발바닥을 돌리는 것
내번 : 중심축을 향해 발바닥을 돌리는 것
외번 : 중심 축에서 멀리 발바닥을 돌리는 것
Ⅱ 수동적 관절 범위 운동 정의와 목적
· 정의
대상자가 스스로 관절을 움직을 수 없을 때 간호사가 대상자의 관절을 정상관절 가동범위 에 따라 움직여 주는 것
· 목적
관절의 가동성을 유지
근육의 위축을 예방
기형을 예방
순환과 감각신경 말단을 자극하기 위함
Ⅲ 각 부위별 정상범위 관절운동과 수동적 관절운동
● 목관절
수동적 관절 운동 - 목운동
굴곡 : 간호사의 한 손을 대상자의 머리뒤에, 반대편 한손은 턱에 애고 턱이 가슴에 닿도록 머리를 앞으로 구부린다
참고자료
· 기본 간호학(원리와 실제) 정현숙외 신 광 (1999)
· 기본간호의 실제 송경애외 현 문 사 (2001)
· 기본간호학Ⅰ 홍근표외 수 문 사 (2000)
· 기본간호학 학술편찬국 퍼 시 픽 (2006)
· 신 체 검 진 최정신외 현 문 사 (1997)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