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운동][동학농민전쟁]동학농민운동(동학농민전쟁) 배경, 동학농민운동(동학농민전쟁) 발생, 동학농민운동(동학농민전쟁) 전개, 동학농민운동(동학농민전쟁)의 주체세력 분석(농민군의 격문, 집강소 조직)
- 최초 등록일
- 2008.08.28
- 최종 저작일
- 2008.08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동학농민운동(동학농민전쟁)의 배경, 발생과 동학농민운동(동학농민전쟁)의 전개 및 동학농민운동(동학농민전쟁)의 주체세력 분석(농민군의 격문, 집강소 조직)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동학농민운동(동학농민전쟁)의 배경
Ⅲ. 동학농민운동(동학농민전쟁)의 발생과 전개
Ⅳ. 동학농민운동(동학농민전쟁)의 주체세력
1. 지도부
2. 참가층
Ⅴ. 농민군의 격문
Ⅵ. 집강소의 성립과 조직형태
1. 집강소의 성립
2. 집강소의 조직형태
Ⅶ. 나가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회사적인 관점에서 농민전쟁의 참여계층을 분석한 신용하는 농민전쟁의 주체세력을 사회신분으로는 양인과 천민층이었고, 사회계급으로는 소작농을 중심으로한 빈농층이었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농민군 지도부는 양인층을 기본으로하여 구성되었고, 이시기의 부농은 기업적 경영을 하는 부농이 아니라 지주, 고리대, 자작부농이 응집된 형태로 존재하여 소작농과 빈농, 소농, 농업노동자를 수탈함으로써 부를 축적하는 존재였기 때문에 부농은 주도세력이 아니라 공격대상이었다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현재는 주체세력 중 부농이 농민전쟁에서 어떠한 일을 수행하였는가가 가장 커다란 쟁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는 개항이후 변화된 사회경제적 조건이 농민층분화에, 특히 부농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와 관련된 문제이다. 따라서 부농을 비롯하여 새롭게 성장하는 신흥세력들이 농민전쟁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가에 주목해야할 것이다.
농민전쟁 연구에 있어서 연구자들 사이의 견해의 차이가 가장 크게 대립하는 부분은 바로 농민전쟁의 사회경제적 지향에 대한 문제이다. 한우근은 일련의 연구를 통하여 농민전쟁이 발생하게된 배경을 봉건적인 조세수탈구조와 봉건관료들의 비법적인 수탈, 그리고 개항이후에 전개된 일본상인등 외국상인들의 경제적인 침탈이라고 규정하였다. 그는 농민들이 제시한 폐정개혁안을 치밀하게 분석하여, 농민전쟁에서 농민들이 요구한 것은 봉건적 조세 수탈과 봉건관료 탐학의 제거에 두어져 있었다고 결론을 내렸다. 그의 연구는 농민전재의 배경과 성격을 반제 반봉건이라는 측면에서 찾게하는 실증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다만 그의 시각은 농민전쟁의 원인을 조선후기 이래의 농민층 분해와 이에 따른 봉건체제의 해체위기라는 구조적인데서 찾기보다는 삼정문란이라는 현상자체에서 찾고있었다.
총론적인 입장에서 우리나라의 근대 변혁의 지향을 자본주의적인 것이 아니라 비자본주의적인 발전방향을 상정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정창렬은, 농민전쟁에서 사회경제적 지향은 ꡒ탐학관리와 신․구형 지주의 억압을 해소시키면서 봉건적 신분제도를 폐지하고, 봉건적 지주전호제를 개혁함으로써 농민적 토지소유를 발전시키려는데 있었다고 보았다. 즉 소상품 생산자로서의 자립을 지향하여, 객관적으로는 자본주의적인 발전의 길을 여는 것이었다고
참고 자료
김용섭(1992), 봉건사회 최말기의 농민운동과 그 지향, 한국근현대농업사연구
고석규(1988), 19세기 농민항쟁의 전개와 변혁주체의 성장, 1894년 농민전쟁 연구
신용하(1993), 집강소의 성립과 개혁의 성격, 동학농민혁명과 사회,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한국 역사 연구회, 1894년 농민전쟁 연구(1):농민전쟁의 사회경제적 배경
한국역사연구회, 1894년 농민전쟁 연구 제3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