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훈가사
- 차 례 -
Ⅰ. 들어가는 말
Ⅱ. 교훈가사의 개념 및 하위범주
Ⅲ. 작품개관
1. 유교적 도덕률
2. 종교적 가르침
3. 일상적 교훈 특징
4. 농민대상의 권농
Ⅳ. 교훈가사의 특징 및 문학사적 의의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교훈가사의 개념 및 하위범주
Ⅲ. 작품개관
1. 유교적 도덕률
2. 종교적 가르침
3. 일상적 교훈 특징
4. 농민대상의 권농
Ⅳ. 교훈가사의 특징 및 문학사적 의의
본문내용
교훈가사의 개념 및 하위범주
훈계(유교적 도덕률), 포교(종교적 가르침)
기사(실생활에 필요한 사실이나 기술)
도학가사와 계녀가(친정부모의 교훈)
유교윤리를 가르치는 가사(특히 이황, 이이, 조식 등을 들고 있으나 정말로 그들의 작품인지에 대해서는 부정적 입장을 취했다.)와 농민
교훈 가사 범위 설정의 어려움
교훈가사 하위 범주 설정하기
1. 유교적 도덕률
권선지로가(勸善指路歌)
이 보쇼 사드라 이 말 드러보쇼
길 란 어두고 小路(소로)로 드러시며
낫즈란 어두고 밤으로 단니다
堯舜(요순) 적 닥근 길이 녜부터 닐러거
너희 무 닐노 小路(소로)로 드러시며
仲尼(중니) 적 놉픈 날리 이졔지 거
너희 무 닐노 밤으로 단니다
仁義(인의)로 길흘 고 五倫(오륜)으로 집을 아
이 길흘 닐치 말고 져 집으로 니거시라
권선지로가
잘 가노라 지말고 못가노라 中止(중지)마라
그림을 도라보아 압날보와 니거스라
흐르 물리 되야 찬 후의 니거스라
양식 다 먹거든 德(덕)으로 니거스라
집픈 막 다 달커든 義(의)를 집퍼 니거스라
眞實(진실)노 그리 가면 貴(귀) 만나리라
남조차 치기 서 거니와
平生(평생)의 다닐 길흘 몰라 로손가
가다가 아 이 만나거든 다시 무러 니거스라
2. 종교적 가르침
서왕가
보살로서의 화자 1 : 중생을 제도한 이야기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