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의 계열성을 고려하여,
단군신화를 가지고 초,중,고등학생들에게 각각 다른 학습지도안을
제작하였습니다. 그중 고등학생 학습지도안입니다.
A+리포트입니다.^^
목차
Ⅳ. 교수 ․ 학습지도안
◈ 본시 교수 ․ 학습의 전개
본문내용
학습목표
․ 단군신화가 현실적 요구에 의해 강조되어 왔음을 안다.
․ 현대사회에도 단군을 둘러싼 논쟁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음을 안다.
․ 단군신화의 각 요소들이 지닌 상징성과 다양한 시각의 해석이 가능성을 안다.
정리하기▶정리하기
T. 단군신화는 대몽 항쟁기 고려인에게 민족적 자주의식을 심어줄 필요에서 삼국유사에 수록되었으며 이후에도 현실적 요구와 필요에 의해 강조되거나 부정되어 왔습니다.
T. 현대사회에서도 단군은 단군민족주의와 관련하여 남한과 북한 모두에서 강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민족의 집단성 강조는 통일과 단결을 촉구하는 반면 지배 권력에 의해 이용당하는 측면도 가지고 있습니다.
T. 단군신화는 상징적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문학적, 민속학적으로 다양한 시각으로의 해석이 가능합니다.
참고자료
· 정선영 외, 『역사교육의 이해』, 삼지원, 2001
· 정선영, 「사회과 역사내용의 계열성 연구」『사회과교육』20, 1987.
· 김한종, 「역사교육 계열화를 위한 고등학교 국사교육 내용구성 방안」『호서사학』40, 2005
· 이원순ㆍ김용만, 「학교급별 국사교육 내용 체계화에 관한 연구」『교육과정 및 교과용 도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2, 1980.
· 이병희, 「중ㆍ고등학교 국사교육 내용의 계열화」『역사교육』76, 2000.
· 방지원, 「역사교육의 계열화 연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조미경, 「학교 급별 계열성에 입각한 단군신화 지도 방안」, 부산대학교 교육학석사 학위논문, 2006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