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철학적 사고는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에 대해 관심을 갖는 이유는 그 들의 물음이 근원적이고 존재론적인이었기 때문이다. 그들의 물음은 단순한 자연철 학이 아니라 형이상학적 주제들이었다.
목차
제1장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
1. 전사(前史)-철학과 신화
2. 밀레토스학파와 피타고라스학파 - 질료와 형상
3. 헤라클레이토스와 엘레아학파 -생성과 존재
4. 기계론자들과 아낙사고라스-물질과 정신
5. 소피스트-사고와 가치의 전도
제2장 앗티카의 철학
1. 소크라테스와 그 학파 - 앎과 가치
2.플라톤(Platon, B.C.427-347) - 이데아 안에 있는 세계
3.스토아철학(Stoicism)
4.회의주의 (懷疑主義) scepticism
5.신플라톤주의 <Neoplatonism>
6.아리스토텔레스
본문내용
토아 도덕 철학은 도덕 가치, 의무, 정의, 굳센 정신 덕목에 중심두고 보편적인 우애와 신처럼 넓은 자비심 강조
스토아 학파는 처음 형성된 후 2세기까지 그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이후 사상의 발전에도 뚜렷한 영향을 미침.
[고대 스토아 철학]
(1) 초기 그리스 스토아 철학
스토아 철학은 낡은 행위규범과 인식방식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 변화의 시대에 생겨났지만 과거의 학파가 남긴 사상의 영향도 받았다.
최초로 나타난 그리스 밀레토스 학파는 우주의 질서와 자연의 아름다움에 주목했 으며,일원론자 엘레아의 파르메니데스와 에페소스의 헤라클레이토스는 각각 이성의 위력과 변화의 영원함을 가르쳤다. 뿐만 아니라 철학자의 상징으로 지혜를 몸소 깨우 쳐 준 소크라테스는 인간의 본성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해주었다.
‘스토아’학파라는 이름은 이 학파의 창시자 키티온의 제논이 주로 강연을 했던 장 소 `stoa poikil.` (채색 주랑, 다채로운 주랑(柱廊)에서 나온 말이다.
초기 그리스 철학의 영향을 받은 제논은 철학을 <논리학>, <자연학>, <윤리학>으 로 나누고 각 영역에서 스토아 철학의 원리를 세웠는데, 후기 스토아 학파에서도 이 원리는 근본적으로 변하지 않았다.
제논에 따르면 논리학은 그 자체가 목적이라기보다 다른 목적을 위한 도구이며, (진리와 허위의 구별, 인간이 올바른 삶을 살아가기 위한 전제로서의 확실한 인식에 관한 이론)
자연학은 올바른 행동을 결정하는 수단을 제공하고 (존재 및 세계 법칙에 관한 이 론)
윤리학은 자연에 따른 삶을 인간의 행복으로 본다. (품행과 삶의 지혜에 관한 이 론)
스토아 학파의 <자연학>은 <유물론적 범신론>이다. 즉 현실적인 것은 구체적 사 물들뿐이며, 세계 전체는 하나의 일관된 (내재적인) 법칙성에 의해 지배받는데, 이 세 계 내에서 인간의 현존을 포함한 세계의 모든 사건을 규정하는 힘(로고스 logos, 누스 nous, 영혼 및 섭리 또는 신 등)이 작용한다.
<논리학>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이룩한 성과를 더욱 발전시킨 중요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특히 제 범주와 추론 형식이 주제화되었다. 스토아 학파의 논리학 연구 는 논리학사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스토아 윤리학의 출발점이 된 것은, 덕(德)은 가르칠 수 있는 것이며 덕 안에 모든 행복의 기틀이 마련되고 있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명제이다. 스토아 윤리학의 목표 는 아파테이아 (apatheia: 無感), 안심, 태연, 아타락시아(ataraxia: 平靜)등으로 특징지 어지는 인간의 현존재이다.
참고자료
· 서양철학 :서양고중세 철학
· 대한민국학술원 ㆍ 강상진
· 서구 철학사상의 유입과 그 평가 - 서양 고대철학의 수용과 한국철학에 미친 영향
·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ㆍ 양문흠
· 소크라테스의 행동에 대한 이해
· 한국철학회 ㆍ 주광순
· 정치 윤리와 공공성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정치를 중심으로..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ㆍ 손병석
· 서양 고대의 수학과 철학 :플라톤의 보편수학을 중심으로
· 대동철학회 ㆍ 이상인
· 고대 그리스 철학 이전의 영혼의 개념
· 철학연구회 ㆍ 장영란
· 고대 희랍철학과 기독교 사상에 나타난 로고스 개념 연구
· 중앙대 대학원 ㆍ 최재률
· 서양 사상에 나타난 환경윤리
· 인천교육대 교육대학원 ㆍ 기수진
· 윤리와 사상 교과서의 서양 윤리와 사회 사상 서술에 대한 비판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ㆍ 윤종철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