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국어문화교육/국어교육A+] 언어외적 맥락을 고려한 상대높임법 교육
동일제목으로 피피티도 있습니다 ^0^
목차
1. 서론
1.1. 문제제기
1.2. 연구사
1.3. 연구 방법
2. 개념 및 교육적 의의
2.1. 대상의 개념
2.2. 교육적 의의
3. 내용론
3.1. 지식
3.2. 수행
4. 방법론
4.1.목표
4.2. 교재
4.3. 교수·학습
4.4. 평가
5.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1.1. 문제제기
높임법이란?
말하는 이가 어떤 대상이나 상대에 대하여 그의 높고 낮은 정도에 따라 언어적으로 구별하여 표현하는 방식이나 체계
국어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로서, 문법현상인 동시에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윤리규범적인 성격도 가지고 있다
현행 교육과정에서의 높임법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내용항목으로 설정됨
초등 3학년 : ‘우리말에는 높임법이 있음을 안다’
높임법 관련 내용이 언중들의 실제 언어생활과 얼마나 일치하는지, 얼마나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문제
세월의 흐름에 따라 달라지는 언중의 언어생활도 새롭게 반영해야 한다는 의견
참고 자료
강창석, 「국어 경어법의 본질적 의미」, 『울산어문논집』, 1987.
김대행, 「국어교과학의 과제」, 『청람어문교육』25, 청람어문교육학회, 2002(a).
김대행, 「내용론을 위하여」, 『국어교육연구』10,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2(b).
김대행, 「수행적 이론의 연구를 위하여」, 『국어교육학연구』22, 국어교육학회, 2005.
김대행, 「매체환경의 변화와 국어교육의 방향」, 국어교육학연구 28, 국어교육학회, 2007.
김재민, 「경어법 사용의 세대간 차이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언어학』, 1998
김재봉,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맥락의 수용 문제」, 『새국어교육』77, 한국국어교육학회, 2007.
김정호, 「국어 높임법에 대한 체계적인 사회언어학적 접근」. 『겨레어문학』33, 2004.
박영순, 「상대높임법의 사회언어학」, 『어문논집』34, 1995.
박창해, 『한국어의 통어 구조』, 한국교원대학교, 2002.
서정수, 『존대법의 연구』. 한신문화사, 1984.
성기철, 『현대국어 대우법 연구』, 개문사, 1985.
윤천탁, 「학교문법의 상대 높임법 기술 내용 재고」, 『청람어문교육』29, 2004.
이경우, 「현대국어 경어법의 사회언어학적 연구(2)」, 『국어교육』, 2001.
이규창, 『국어존대법론』, 집문당, 1992.
이윤하, 『현대 국어의 대우법 연구』, 역락, 2001.
임홍빈장소원, 『국어문법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5.
정지은, 문법교육의 교수적 변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