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추신경계 수준의 반사 -
1. 검사목적
2. 검사시기
3. 원리
4. 반사발달의 3단계
5. 중추신경계 수준의 반사의 종류
※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검사목적
- 중추 신경계 반사 성숙도를 신경학적 측변에서 척수, 뇌간, 중뇌, 대뇌 피질의 운동발달 단계로 측정
2. 검사시기
정상아 : 신생아 - 생후 6세까지
비정상 반사 : 6세 이후에도 초기 및 주기적 검사 실시
3. 원리
- 고위중추 inhibitory control 이 지연 또는 파괴되면 원시반사가 고위반사를 지배하여 sensorimotor activities를 비정상적으로 조정
4. 반사발달의 3단계
1) 무족(Apedal) 상태 ⇒ 엎드리기, 바로 눕기
바로 누운 자세 혹은 엎드린 자세에서 원시 척수반사 및 뇌간반사가 우세하게 나타나는 상태
2) 네발(Quadrupedal) 상태 ⇒ 기어가기, 앉기
정위반응(righting reactions)이 나타나 아동자신이 뒹구르려 혹은 서 있으려 하며, 나아가 네발로 기거나 앉으려는 중뇌 활동이 우세하게 나타나는 상태
3) 두발(Bipedal) 상태 ⇒ 서기, 걷기
균형반응(equilibrium reactions)이 나타나 아동이 걸으려고 하는 대뇌 피질 활동이 우세하게 나타 나는 상태
5. 중추신경계 수준의 반사의 종류
(1) 척수단계 반사(Spinal level)
- 척수 반사는 뇌교의 아래 1/3부분에서부터 그 이하에 위치한 중추 신경계 Deiters핵(nucleus)의 영역에 의해 지배받는다. 척수 반사는 각 사지에 있는 근육들이 서로 영향을 미쳐 한쪽 사지를 구부러지게 하거나 펴지게 하려는 어떠한 근육의 반사적 움직임이다. 척수 단계 반사는 양성 반응이 생후 2개월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