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섬유
(1) 광섬유의 구조
(2) 광섬유 연혁
(3) 제조과정
(4) 용도
(5) 광섬유의 분산
◆광통신
(1) 광섬유의 발견
(2) 광케이블의 구분
(3) 광케이블의 종류
(3) 광통신의 장단점
참고 싸이트
본문내용
신소재란
금속 ·무기(無機) ·유기 원료 및 이들을 조합한 원료를 새로운 제조기술로 제조하여
종래에 없던 새로운 성능 ·용도를 가지게 된 소재.
신소재의 종류
⑴ 신금속재료
①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 대표적인 합금으로 티탄-니켈 합금이 있으며
인공위성부품 ·인공심장밸브 ·감응장치 등에 쓰인다.
② 비정질금속재료(amorphous metal) : 비결정형재료라고도 하며, 강도 ·자기화 특성 ·
내마모성 ·내부식성이 크다. 녹화헤드 ·변압기 등에 쓰인다.
③ 초전도재료(superconducting meterial) : 절대 영도에 가까운 극저온이 되면 전기
저항이 0이 되는 성질을 지닌 합금으로, 특징은 입력된 에너지를 거의 완벽하게
전달할 수 있는 점이다. 통신케이블 ·핵융합 등의 에너지개발, 자기부상열차,
고에너지 가속기 등에 이용된다.
⑵ 비금속 무기재료
① 파인세라믹스(fine ceramies) : 뉴세라믹스라고도 한다. 천연 또는 인공적으로
합성한 무기화합물인 질화물 ·탄화물을 원료로 하여 소결한 자기재료이다.
내열성 ·굳기 ·초정밀 가공성 ·점연성 ·절연성 ·내식성이 철보다 강하여 절삭공구 ·
저항재료 ·원자로 부품 ·인공관절 등에 쓰인다.
② 광섬유(optical fiber) : 빛을 머리카락 굵기에 불과한 수십 μm 유리섬유 속에
가두어 보냄으로써 광섬유 한가닥에 전화 1만 2000회선에 해당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③ 결정화유리(crystallized glass) : 유리세라믹스라고도 하며, 비결정구조로 된 유리를
기술적으로 결정화하여 종래에 없던 특성을 지니게 한 유리이다.
⑶ 신고분자재료
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금속보다 강한 플라스틱 제품으로서, 경량화를 지향하는
자동차 ·전자기기 ·전기제품 등에 쓰인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