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唐末ㆍ五代에 일어나 宋대로 이어졌던 사회적 변혁은 중국 고대의 춘추ㆍ전국시대에 비유될 정도의 구조적 변화였다. 이 시기의 사회변화를 통틀어 唐ㆍ宋變革이라 칭하며 부각시키고 있다. 당송변혁이 시대구분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기는 하나, 중국사 전체를 시대구분과 결부지어 당송변혁이 가지는 시대적 성격에 대해 정리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당송간의 변화는 단순한 왕조의 교체만이 아니라 사회적 성격을 달리하는 획기로서 1922년 일본의 나이또 도라지로(內藤虎次郞)가 당과 송 사이에 보여지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친 변화상을 지적한 이래 대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이 시기에 이루어진 변화의 모습은 인정하지만 변혁의 역사적 성격에 대해서는 아직 통일된 견해를 도출하지 못했다.목차
I. 머리말II. 시대구분론과 당․송변혁기논쟁
1. 중국에서의 시대구분론
2. 일본에서의 시대구분론과 당송변혁논쟁
1)경도학파와 동경학파의 당․송변혁논쟁
(1)경도학파
①나이또 도라지로(內藤虎次郞)
②미야자끼 이찌사다(宮崎市定)
(2)동경학파
①마에다 나오노리(前田直典)
②슈도 요시유끼(周藤吉之)
2)장원제와 지주-전호간의 관계 : 두 학파 간의 주요 쟁점
III. 당송변혁기에 일어난 제 변화
1. 당중기 이후의 사회 변화
1) 지배구조의 변모
2) 부병제의 붕괴
3) 수취제도의 변화
2. 송대사회로의 이행
1)황제독재체제의 성립
2)농업 생산력 발전과 경제 중심의 남이
3)상업과 도시
4)사대부 계층의 형성과 신문화 발달
(1) 사대부 계층의 형성과 과거제도의 완성
(2) 신문화의 발전과 주자학의 성립
IV.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오늘날 중국에서 주로 논의되고 있는 시대구분법은 세계사적인 보편적 법칙으로서의 사회구성의 단계적 구분기준에 의거한다. 즉 노예제사회․농노제사회를 기준으로 하여 시대를 구획하는 유물론적 기준에 의거하고 있다.이러한 기준의 시대구분이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마르크스주의가 정치 및 사회사상으로서 정착하기 시작한 1920년대 말~1930년대 말이었다. 중국이 노예제사회․봉건사회를 단계적으로 거쳐왔다는 전제 하에 각각 어느 시기를 그 단계에 해당시킬 것인가가 논의의 초점이었으나 논리적 미성숙과 근거의 미약함으로 정책노선의 범위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다시 사회사 논전에 불이 붙었다. 이 때 곽말약(곽말약)은 그 이전의 자신의 설에 몇 번 수정을 가하여, 1952년 『노예제시대』에서 노예제사회의 종말과 봉건사회의 시작을 춘추시대와 전국시대의 사이로 잡았다. 이에 대해 여러 학자들이 다른 견해를 내세웠으나 1957년 ‘잠정적’으로 교육과정상에 곽말약의 설을 채택하였다. 1978년 곽말약 사망 이후 그의 주장에 대한 비판이 다시 활발해지면서 갖가지 시대구분이 제기되었고 현재까지 논의는 계속되고 있다.
이 중 당․송변혁에 대한 중국학계의 입장은 이 시기의 변혁의 양상 자체는 인정하나 시대구분에서는 봉건사회 내의 전․후기 혹은 전․중․후기로 구분하는 경향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중국학계 내에서의 경향은 당․송변혁을 기준으로 고대와 중세 혹은 중세와 근세로 구분하는 일본학계의 경향과 다른 면모를 많이 보이며, 중세를 인정하지 않는 금․고의 이분법과 학자마다 다른 전제와 기준 때문에 일치된 견해를 찾기 어렵다.
2. 일본에서의 시대구분론과 당․송변혁논쟁
1945년 8월 전쟁에서 패배한 후, 일본의 서구지향적인 ‘근대화’는 역사적으로 파산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에 따라 일본은 아시아로 귀속될 수 밖에 없으며 일본의 역사적 전개도 아시아의 다른 지역과 같은 차원에서 논해야 한다는, 즉 독선적인 일본사관에 대한 비판과 반성의식에서 각 지역의 역사를 세계사라고 하는 공통의 입장에서
참고 자료
곡천도웅 편저, 『일본의 중국사논쟁』, 신서원, 1996.궁기시정 저, 조병한 역, 『중국사』, 역민사, 1994.
민두기 편, 『중국사시대구분론』, 창작과 비평사, 1984.
서울대학교동양사연구실 편, 『강좌중국사』III, (주)지식산업사, 1989.
신채식 저, 『동양사개론』, 삼영사, 1993.
조영록 외, 『동양의 역사와 문화』, 국학자료원, 1998.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당송변혁기의 시대적 변화와 중요성 5페이지
[동양중세사]당송변혁기의 역사적 의의 5페이지
기본 1페이지
주홍글씨 내용요약 및 내 생각쓰기 4페이지
[무료표지] 귀여운 심플 고리 장식 표지(잉크절약*^^*) 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