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칼리도(Alkalinity)
- 최초 등록일
- 2008.06.15
- 최종 저작일
- 2007.06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000원
소개글
알칼리도의 정의를 알고 산으로 중화측정을 해서 직접 알칼리도를 구한다.
목차
■실험목적
■실험원리
■실험계산식
■실험방법
■시약 및 시약제조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알칼리도의 정의
알칼리도란 수중에 수산화물(OH-), 탄산염(CO32-), 중탄산염(HCO3-)의 형태로 함유되어 있는 알칼리성을 이에 대응하는 CaCO3으로 환산하여 1L중의 mg량으로 표시한 것으로 산을 중화시키는데 필요한 능력을 말한다. 알칼리도는 대상 용액의 산을 중화시킬 수 있는 능력으로써 “산(주로 H2SO4)"으로 중화측정하고 산도는 알칼리를 중화시킬 수 있는 능력으로서 ”알킬기(주로 NaOH)"로 중화 측정한다.
・표현단위 : mg/l as CaCO3
・알칼리도 유발물질 : CO32- , HCO3- , OH-
∴총 알칼리도 = 2[CO32-] + [HCO3-] + [OH-] - [H+]
대부분의 자연수의 PH는 탄산계(carbonic acid system)에 의해 조절된다. 미생물의 호흡이나 물질의 연소에 의해서 발생하는 CO2는 물에 녹아서 H2CO3가 되며 이는 전리하여 다음과 같다.
CO2 + H2O ⇄ H2CO3 (용존 CO2와 탄산) ----①
H2CO3 ⇄ H+ + HCO3- (탄산수소염) ----②
HCO3- ⇄ H+ + CO32- (탄산염) ----③
CO32- + H2O ⇄ HCO3- + OH- (수산화물) ----④
따라서, HCO3- 나 CO32-의 생성으로 자연계에서의 CO32--HCO3-계의 평형을 이해하여야 한다.
참고 자료
・환경공학실험, 김남천 편저, 동화기술, 1989, P274-276
・수질분석 및 실험, 김형석 저, 신광문화사, 2004, P129~134
・수질오염개론, 팽종인, 박예숙, 김흥락, 신광문화사, 2004, P12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