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방십자인대 구조와 기능
많은 교원섬유속이 서로 얽혀져 있는 구조를 이루는 전방 십자인대는 대퇴과간절흔의 외측벽 후상방에서 기원하여 경골극에 부착되어 있다. 대퇴 부착 부위는 평균2㎠정도의 넓이를 이루고 있으며, 후방 경계면은 후방 관절 연골면과 평행하여 볼록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전방 곙계면은 약간 볼록한 모양을 이루고있으며 후방 관절 연골면도 2~3mm 전방이 가장 치밀한 교원섬유속을 이루고 있으며, 모든 섬유속들은 전하방으로 부채살형태 산개하여 주행한다. 일부의 섬유속들은 경골극 부착 부의 근처에서 내측,외측 전방으로 부채살 형태가 최대로 산개하기 때문에,경골 부위의 부착 넓이는 약3㎠ 정도에 이른다. 산개된 일부 전방 십자인대 섬유속은 외측 반월상연골 전각부에, 후방 섬유속 일부분은 후방각부에 부착하게 된다.
2. 기초과학 및 생역학
전방십자인대는 경골의 전방 전위를 막는 일차적인 구조물이며, 내반 및 외반력에 대한 경골의 회전을 막아주는 이차적인 기능도 가진다. 정상적인 전방십자인대는 약 2,500N의 힘까지 견딜 수 있으며, 나이가 많은 사람의 전방십자인대는 젊은 사람에 비해 견딜 수 있는 힘이 약하다. 전방 십자인대에 가해지는 힘은 수동적 무릎관절 신연시 약 100N이며, 보행시는 400N, 격렬한 운동시는 약 1,700N정도이다. 전방십자인대의 자체 능력을 넘어서는 힘은 무릎관절에 비정상적인 하중이 걸릴 때 일어나게 된다.
정통적인 치료방법
● 굴곡과 신전 능력을 느리게 되찾는다.
● 수술 후에 부분적이나 비체중지지를 한다.
● 3주나 4주 후에 닫힌 사슬 운동을 실시한다.
● 6개월이나 9개월 후에 정상적인 활동으로 돌아온다
참고자료
· 근골격재활, William E. Prentice외, 군자출판사, 2005. 01 .05, p601~611
· 운동손상학 원론, Daniel D. Arnheim외, 대한미디어, 2003. 02. 05, p594~595
· 오‘설리반&슈미츠 질환별 물리치료 개정4판, 영문출판사, 2007. 04. 02
· 근골격계 질환의 진단 및 재활치료, S. Brent Brotzman외, 한미의학, 05.2.18, p266~293
· 정형의학, James Cyriax, 현문사, 1996. 02. 05 p97
· 스포츠상해와 응급처치, 김문기외, 대경북스, 2006. 08. 25, p87~95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