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적 집단치료와 상담의 이론고찰
- 최초 등록일
- 2008.06.06
- 최종 저작일
- 2008.02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7,000원
소개글
이글은 심리적 집단치료와 상담의 이론고찰에 관한 글 입니다. 집담 상담치료의 역사, 정신분열증 환자집단 상담치료, 집단과 치료집단, 참만남과 집단치료, Frank와 대인간의 관계, 집단의 치료의종류, 집단치료의 요인, 집단치료와 보편성, Yalom , Bandura의 모방과 개인상담, Freud 대인관계학습, 개인상담 vs. 집단상담에 대하여 적었으며 논문이나 레포트 쓰실 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소개의 글
2. 집담 상담치료의 역사
3. 정신분열증환자집단상담치료
4. T집단과 치료집단
5. 참만남과 집단치료
6. Frank와 대인간의 관계
7. 집단의 치료의종류
8. 집단치료의 요인
9. 집단치료와 보편성, Yalom
10. Bandura의 모방과 개인상담
11. Freud 대인관계학습
12. 개인상담 vs. 집단상담
본문내용
1. 소개의 글
이글은 심리적 집단치료와 상담의 이론고찰에 관한 글 입니다. 집담 상담치료의 역사, 정신분열증 환자집단 상담치료, 집단과 치료집단, 참만남과 집단치료, Frank와 대인간의 관계, 집단의 치료의종류, 집단치료의 요인, 집단치료와 보편성, Yalom , Bandura의 모방과 개인상담, Freud 대인관계학습, 개인상담 vs. 집단상담에 대하여 적었으며 논문이나 레포트 쓰실 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2. 집담 상담치료의 역사
우선 참만남 집단이라는 용어는 1960년대 중반 인본주의 심리학자은 Rogers가 만들어낸 것이다. 그 이전까지는 T집단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이 두 모임을 구분할 수도 있으나, 그 구분이 명확하지 않을 수 있고, 또 여기에서는 집단치료와 비교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참만남 집단이라는 용어를 대표적으로 사용한다. 참만남 집단의 시작은 1946년 Connecticut 주(州)가 Kurt Lewin에게 집단 간의 긴장을 효과적으로 다루고, 인종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는 지도자를 훈련시켜줄 것을 요청했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Lewin은 각 10명씩으로 구성되는 작은 집단을 모아, 전통적인 방법인 토론을 사용함으로 여러 문제를 다루면서, 연구를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너무나 성공적이어서, 유사한 실험실에서 계속적으로 반복되었고, 작은 토론집단들은 처음에는 “기초기술 훈련집단들”이라고 불렸으며, 1949년에는 T집단(training in human relations)으로 약칭되었다. 그리고 1950년경에는 National Educational Association 산하에 이 모임의 주최 기관인 National Training Laboratory(NTL)가 설립되었다. T집단은 인간관계 실험의 한 측면에 지나지 않았고, 처음에는 이 집단이 인간관계에서의 교육적 모험이지 정신치료적인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