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주차-1-세계의 종이/한지의 특성 및 용도
1.종이란 무엇인가
▸종이의 정의
셀룰로오스 섬유를 물에서 건져 철사 체에 말려 돗자리 또는 펠트 천의 형태로 만든 것.
▸종이의 구분
-종이는 수제지와 기계지로 구분, 일반적으로 우리가 쓰는 종이는 기계지임, 양지라고도 함.
▸종이의 발명
-기원전 2세기 중국에서 발명
-1968년 감숙성(甘肅省) 천수시 방마탄에서 기원전 2세기 전반으로 추정되는 지도가 그려진 종이 발견됨.
-초기에는 폐마를 원료로, 105년 경, 후한의 채륜이 생인피 섬유를 이용하여 종이제작법 개량, 이후 널리 전파됨.
▸종이의 전파 및 발전
⦁종이의 전파
종이는 채륜의 발명 이후, 751년에는 중앙 아시아, 793년에는 바그다드에 전파되었으며, 14세기에는 유럽 여러 지역에 종이 공장이 있었다.
⦁종이의 발전
1450년경 인쇄기 발명 이후, 종이에 대한 수요 증가, 1798년 니콜라스 루이스 로베르 최초의 초지기 제조, 움직이는 체 벨트를 이용해 틀 또는 형틀을 체 바닥과 함께 펄프 통에 담가 1번에 1장씩 종이를 떠냄. 몇 년 후 헨리와 실리 푸어드리니어 형제가 로베르의 기계 개량, 1809년 존 디킨슨 최초의 원압제지기 발명. 19세기 초, 나무와 다른 식물성 펄프, 종이제조를 위한 주요 섬유공급원으로 넝마를 대신하기 시작함
♠종이의 구성성분: 셀룰로오스
♠종이의 재료
1)나무: 종이제조를 위한 주요섬유질 공급원
2)넝마섬유: 질기고 변하지 않는 종이 제조용
3)신문 용지를 비롯한 재생폐지와 마분지
4)짚, 바가서(사탕수수 가루 찌꺼기), 아프리카나래새, 대나무, 아마, 대마, 황마, 양마
5)합성섬유: 특수 종이제조용
3.세계의 종이1-중국의 종이
중국문화에서 종이는 인쇄 수단, 가정생활 등 여러 방면에 이용됨.
⦁가장 먼저 사용된 예, 복식문화, 겨울 옷의 안감이나 방수외투의 소재로 면보다
종이를 선호
⦁옻칠한 갑주는 17세기까지 화려한 정장으로도 이용, 중국의 유통지폐는 8세기부터 통용 된 헌납지폐와 인조 지폐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