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측광방식의 이해
(1)측광방식이란
(2)카메라에서 측정하는 화면밝기
1)어두운 배경 앞의 인물은 밝게 촬영된다
2) 밝은 배경 앞의 인물은 더욱 어둡게 촬영된다
3) 카메라의 측광 모드의 발전
2. 측광방식의 종류
(1)평균 측광 (Average Metering)
(2)중앙부 중점 측광 (Center-weighted Metering)
(3)멀티 측광 (Multi-zone Metering)
(4)스팟 측광 (Spot Metering)
1) 주제와 배경이 명확하고 주제에 노출을 맞출 경우
2) 휘도차가 큰 경우
3) 터널뷰 사진에 사용
4) 실루엣 사진에 사용
#노출계의 원리
본문내용
1. 측광 방식이란?
카메라에서의 ‘측광(light metering)’ 은 빛의 밝기를 필름이나 CCD(혹은 CMOS)에 도달한 빛을 분석하여 흰색과 검정색 그리고 중간 단계의 회색들로 구별하여 그 밝기를 알아내는 것입니다.
사진이 지나치게 밝거나 어둡다면 노출과다나 노출부족 현상이 일어납니다. 우리 눈과 다르게 카메라의 경우 색(빛)을 풀컬러(fullcolor)로 인식하지 못합니다. 우리가 카메라 렌즈를 통해서 담고자하는 화면을 포착했다면 그 순간 흑백으로 이를 인식하고 100%는 흰색, 0%는 검정색, 18%는 회색으로 인식하며 그 비율 값을 통해서 노출 값을 산출하게 됩니다.
다시 말하면, 카메라의 노출계는 이른바 표준반사판이라고 불리는 18% 그레이카드(graycard)에 노출의 기준을 잡습니다. 즉, 각 요소의 합산이 이 18% 그레이(회색)보다 밝으면 노출을 낮추고, 어두우면 노출을 높여주는 것입니다. 측광 방식이라는 것은 이러한 화면의 구성 요소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어떤 쪽에 중점을 두고 합산을 할 것인가” 를 결정하는 인자라고 보면 적합합니다.
이러한 측광 방식의 차이는 평균적인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반역광(半逆光)이나 역광(逆光) 등과 같이 명암차가 큰 환경에서의 촬영 시에는 어떤 측광 방식을 사용했는가에 따라서 결과물은 확연히 달라집니다.
중략..
카메라에 의해 분석된 빛의 밝기는 사람의 눈으로 본 피사체보다 어둡게 나왔습니다. 이는 배경이 어두웠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해서 사진을 찍게 되면 어두운 것을 밝게 해주기 위해 카메라는 노출을 더 주게 되고 결과적으로 원하던 바와는 다르게 더 밝게 나오게 됩니다. 어두운 색의 건물 벽 앞의 인물사진은 이러한 현상 때문에 인물이 눈에 보이는 것보다 더 밝게 나오게 됩니다.
이런 경우 인물의 얼굴 위주로 측광을 하거나 노출을 줄여 주면 조금이나마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