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1910년대와 1920년대 한국현대소설사에 대한 정리와 이광수 그리고 1920년대 작가인 염상섭, 현진건, 나도향의 작가론에 대한 연구.
근대문학의 태동과 관련한 이광수의 무정 연구 및
자연주의에 염상섭, 사실주의에 현진건, 낭만주의에 나도향 이라는 분류를 통한 작가연구.
목차
머리말
1.소설사
1)1910년대 문학
-이광수의 「무정」
2)1920년대 문학
(1)시대개관
(2)소설
2.작가연구
1) 염상섭
(1)염상섭과 자연주의
(2)에밀졸라와 염상섭의 자연주의
(3)일본과 염상섭의 자연주의
2) 현진건
(1)사실주의 문학
(2)현진건과 사실주의
3) 나도향
(1)미적 전유 원리로서의 낭만주의
(2)나도향과 낭만주의
(3)나도향 소설의 낭만주의의 서사화
(4)나도향 소설의 ‘낭만성’의 근대 소설사적 위상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머리말
구한말의 애국 운동과 근대시민사회로 발돋움하는 문화운동과 때를 같이하여 발생했던 신소설은 3․1운동을 고비로 하여 그 창조적 의미는 약화되었다. 그리고 신소설의 예술적 전통을 이어받은 근대소설이 1919년 3․1운동을 한 시기의 사회․문화적 의미의 새로운 시발점으로 하여 생성 발전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겨레의 총화스런 체험은 자주독립의 의지와 기세를 재확인시켰고 아울러 근대적 시민사회를 이룩하려는 민주적 인식을 크게 보편화시키는 운동이 되기도 하였다. 그로 인하여 근대소설은 신소설에서 자주 보였던 봉건적 가치인식과 근대지향적 자세가 혼효된 과도기적 미의식에서 벗어나 차츰 낭만적 현실주의로 성숙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작품에서 관념적인 반봉건적 이념의 상투적인 틀을 깨고 현실적 삶의 구체화된 서사인식이 증진되어갔다. 따라서 우리는 이보다 앞선 1910년대의 문학과 이광수의 「무정」에 대해 살펴본 후, 본격적으로 1920년대 문학의 특징과 함께 염상섭, 현진건, 나도향에게서 나타나는 문학적 양상을 살펴보겠다.
1. 소설사
1) 1910년대의 문학
한·일 병합과 더불어 주권이 상실되고 무단 통치하에 놓인 시기로, 외세의 침략에 대항하기 위한 의식의 고취와 새로운 문명 개화에 힘써야 한다는 의식의 대립과 갈등이 나타난다. 전반기에는 개화·계몽 사상을 담고 있는 문학이 많이 지어졌으나, 후반기에는 순수 문학을 추구하고자 했다. 또한 춘원 이광수와 육당 최남선에 의해 2인 문단 시대가 열리게 되었으며, 이광수에 의해 언문 일치제 문장이 본격화된 시기도 이 때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 시대부터의 등장한 근대 소설은 시대문제를 심화시킨 근대적 인간상을 형상화하였다. 당시 잡지 및 문예지로는 《소년》,《청춘》,《태서 문예 신보》 등이 있다. 여기서 최초의 현대적인 장편소설인 ‘무정’ (「매일신보」,1917)을 통해 이광수 소설이 가지는 근대적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다.
참고 자료
김윤식,『한국소설사』, 문학동네, 2000.
문학과문학교육연구소,『韓國現代小說史』, 삼지원, 1999.
서종택ㆍ정덕준, 『한국현대소설연구』, 새문사, 1990.
윤병로,『한국 근,현대 작가,작품론』,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7.
곽순애,「1920년대 전반기 소설의 현실 인식 방법 연구 :김동인ㆍ나도향ㆍ염상섭ㆍ현진건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1.
김순애, 「특집: 현진건 소설의 리얼리즘-<운수 조흔 날>, <고향>을 중심으로-」, 반교어문 학회, 1991.
박현수,「1920년대 자연주의 소설론」,반교어문학회,1997.
전종봉,「실험소설론과염상섭자연주의」,동서비교문학저널,2004,
한금윤,「나도향 소설의 미적 특성 연구」,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6
르엉 응웬 타잉 짱, 「Nam cao(남 까오)와 현진건 사실주의 단편소설 비교연구」, 부산대 학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