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요약본 방송통신대학교
- 최초 등록일
- 2008.05.31
- 최종 저작일
- 2006.06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방통대에서 나온 고전 시가론을 요약해 놓은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장. 總論(총론)
제 2 장. 상대시가(上代詩歌)
제 3 장. 향가(鄕歌)
제 4 장. 속요
제 5 장. 경기체가
제 6 장. 악장
제 7 장. 시조(時調)
제 8 장. 가사(歌辭)
제 9 장. 잡가(雜歌)
제 10 장. 민요(民謠)
본문내용
제 3 장. 향가(鄕歌)
3.1.향가의 명칭과 개념
향가란 항찰로 표기된 신라시가 14수(모두 출전은 [삼국유사])와 고려초 균여의 보현십종원왕가11수, 예종의 도이장가 3수를 지칭한다. 향이 자기 폄하적 의미만을 가진 한자어가 아닌 만큼 중국 시가와 대등한 위치에서 서로 구별하기 위해 쓰여진 시골말이 아닌 우리 고유의 말이라는 명칭으로 시는 당나라 말로 얽음으로써 오언칠자로서 탁마를 하고 가는 우리말로써 배열하여 삼구육명 으로써 가다 듬는다.라 균여전에서 언급한것도 당시와 향가의 대등함과 우리노래를 입증하고 있다. 향가란 4구체의 도솔가, 10구체의 제망매가 우적가 보현10종 원왕가 등 향찰로 표기된 모든 시가 형식을 표괄하는 명칭이다.
3.2. 향가의 형식과 운율
향가의 형식
향가의 문학적 형식을 대체로 4구체, 8구체, 10구체로 나누고 그 완성형을 10구체로 본다. 특히 10구체가에 한하여 전8구 후2구로 구성된 시가로 보는 견해와 전부 8구, 후부3구인 11구로 구성된 정형시가로 보는 견해가 있다. 향가형식의 발전과정은 2행시체향가형식에서 6행시체 사뇌가 형식으로 발전 했을 것이다. 2행시체는 사노 부족국가시대 이전부터, 사뇌가 형식은 5세기 초 중엽에 이르러 형성되어 6세기 말엽에는 완전히 서정시로 독립되었을 것이다. 차사란 10구체 향가에 주로 나타나는 것으로 세 번째 단락의 첫 구절에 보인다
3.3. 향가의 하위 장르와 향유층
4구체 계열과 10구체 계열로 대별되는 향가의 두 형식은 곧 향가에서 설정할 수 있는 두 개의 하위 장르가 될 수 있다. 4구체 계열을 ‘민요계 향가’라 하고 10구체 계열을 ‘사뇌가계 향가’라 칭한다면, 앞에서 정리한 향가의 형식체계는 다음과 같이 된다.
민요계열 향가 : 서동요. 풍요
서정계열 향가 : 헌화가. 모죽지랑가. 찬기파랑가. 원가. 제망매가
불교계열 향가 : 현교계열(원왕생가. 안만가. 우적가. 보현십종원왕가 11수), 주밀계열(도솔가. 혜성가. 도천수대비가)
주사계열 향가: 처용가
민요계열 향가
1. 서동요 : 작가(서동:무왕), 연대(진평왕), 형식(민요적 2행체), 관련인물:선화공주 남녀 상열의 행동을 직설적으로 그렸다., 전래동요의 개작
참고 자료
방통대 고전시가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