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와 문화를 주제로 하여
6가지의 소주제를 정한다음 만든 PPT자료입니다.
기독교가 문화에 끼친 영향, 문화로부터 받은 영향
문화적 기능가 기독교의 관계, 기독교와 대중문화의 관계를 3가지(음악, 영화, 게임)
로 살펴보고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 끝으로 교회의 부흥과 과제에 대하여
서술하였습니다.
기독교와 문화를 주제로 하여
6가지의 소주제를 정한다음 만든 PPT자료입니다.
기독교가 문화에 끼친 영향, 문화로부터 받은 영향
문화적 기능가 기독교의 관계, 기독교와 대중문화의 관계를 3가지(음악, 영화, 게임)
로 살펴보고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 끝으로 교회의 부흥과 과제에 대하여
서술하였습니다.
목차
1. 기독교가 한국문화에 끼친 영향
2. 기독교가 우리나라에 끼친 영향
3. 기독교의 문화적 기능과 관계유형
4. 기독교와 대중문화
5. 기독교의 문제점
6. 한국교회의 부흥과 앞으로의 과제
본문내용
6. 한국교회의 부흥과 앞으로의 과제
첫째, 정체성이 없다. 기독교가 다른 문화권으로 확산 될 때에 반드시 그 문화와 야합함으로서 생존했고 기득권을 획득하여 문화를 형성하였다.
둘째, 기독교는 지극히 공격적이며 배타적이다. 토착신앙은 소극적, 화합적, 수용적이기 때문에 공격해온 기독교와 정면대결을 피하고 저항 없이 받아들이고 말았다.
셋째, 보수화된 교회와 신도들이 문제이며, 또한 보수기독교의 윤리적 타락이다.
넷째, 자신의 신앙과 믿음만 믿고 전도하려고 하며, 진실한 믿음도 보여주지 않은 채 그들을 이해하려고 하지 않는다.
다섯째, 그들을 불쌍히 여기고 돌이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는 것이 기독교인의 사명이라는 것을 모르고, 선교 활동에 대해 굉장한 자부심을 갖는다.
여섯째, “믿으면 천국, 안 믿으면 지옥”이라는 공격적인 문구로 불신자들에게 귀신을 믿는다는 오해를 받는다.
기독교는 사람의 심리 속에 자기만은 무조건 영원히
살고 싶다는 수준 이하의 인간욕망을 부추기고,
이런 욕망을 증폭시키면서 환각의 상태로 몰아가는
성숙치 못하는 논리의 기초로 이루어진 종교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