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우리나라의 사회경제사학의 도입과 전개에 대한 리포트백남운의 생애부터 사회경제사학의 도입과 과정, 영향까지
목차
1. 머리말2. 백남운의 생애
(1) 출생과 성장
(2) 연보
(3) 주요 저서·저술
3. 백남운의 한국사 인식
(1) 마르크스주의의 역사이론과 기본관점
(2) 한국사 인식 비판
(3) 해방 이후의 한국사 인식
4. 백남운의 사회경제사학
(1) 사회경제사학의 도입
(2) 사적유물론의 도입
(3) 경제적 구성체로서의 노예제·봉건제 문제
(4) 아시아적 봉건제의 기반-토지국유제문제
5. 백남운의 일제하 한국사 발전단계론의 구성
(1) 원시공산제사회론
(2) 노예제사회론
(3) 아시아적 봉건제사회론
6. 발전의 계기를 찾아서
7. 맺는말
8. 참고도서
본문내용
1. 머리말한국사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관련하여 백남운의 사론이나 한국사상(韓國史像)에 대해서는 그간 적지 않은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아직까지 그의 역사학을 분단기 북한 역사학의 전개와 관련하여 계통적으로 인식할 만큼 시야가 확대된 것은 아니지만, 이로써 한국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의 개척자로서의 그의 사학적 위치는 어느 정도 정리되었다고 생각된다.
그런데 일제하 이래의 오랜 논의과정에서 지적되어 온 백남운의 역사학의 기본 성격은 공식론 또는 공식주의였다. 즉 마르크스에 의해 정식화된 사적 유물론의 일원론적 역사관을 과도하게 강조하여 이를 교조적으로 한국사에 적용함으로써 한국사의 특수성을 무시하였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이해는 백남운 역사학의 기본성격과 그의 사상 전반을 설명하기에는 극히 불충분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더욱이 그의 사학사상(史學思想)에 대한 평면적 이해는 필연적으로 해방 후 그의 정치노선의 사상적 이론적 정합성에 대한 혼란을 수반하게 되므로, 여기에는 대단히 신중한 검토가 요구된다.
2. 백남운의 생애
(1) 출생과 성장
52세로 해방을 맞이하기까지 백남운의 생애는 크게 다섯 시기, 즉 1894~1911년(1~18세) 전북 고창의 성장기, 1912~18년(19~25세)20대 전반기 수원농림학교 유학과 강화의 교원시절, 1919~25년(32~44세) 연희전문 교수 시절, 1938~45(45~52세) 은둔과 친일의 수모를 당한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조동걸(1991)은 백남운의 생애를 다음 여섯 시기로 정리한다. 제1기: 성장기, 1~18세(1894~1911) 제2기: 수학 수련기, 19~31세(1912~24) 제3기: 교단 저술기, 32~44세(1925~37) 제4기: 은둔기, 45~52세(1938~45) 제5기: 광복활동기, 52~54세(1945~47) 제6기: 재북기(在北期),55~58세(1945~79)
백남운은 1894년 고창군 아산면 반암리에서 출생하였다. 당시 수원 백씨(白氏)는 이 지역 유력가 집안의 하나였으며, 문중에서는 일제 식민지 후 이미 근대 문물에 대해 개방적인 계몽주의적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중과 집안의 안정적인 기반은 민족운동보다 학문을 선호하는 본원적 토대가 되었다.
1912년(19세)에 3년제 수원농림학교에 입학한 백남운에게 제2의 고향이 된 수원 유학생활은 그의 지식갈구를 충족시키며, 봉건적 향촌과는 다른 근대적 새 세계에 대한 안목을 열어주는 계기가 되었다. 그의 농림학교 생활은 대체로 계몽주의 우파적 성향이 짙은 것이었고, 1915년(22세) 농림학교 졸업 후에도 식민체제에 대한 본격적인 고민 없이 강화 공립보통학교에서 교원생활을 시작하였다.
참고 자료
강진철 <사회경제 사학의 도입과 전개> <<국사관논총2>> 1989 국사편찬위원회방기중 <백남운의 역사이론과 한국사 인식> <<역사비평>> 여름호 1990 역사비평사
도진순 <백남운의 지적 성숙과정과 연합성 민주주의>
<<분단의 내일 통일의 역사>> 2001 당대
윤석범 <동암 백남운 교수 탄진 백주년 기념호 ( 창간호 ) : 백남운 교수 연보>
<<연세경제연구>> 1권 단일호 시작쪽수 309p, 전체쪽수 3p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마가복음]마가복음 A+ 요약분석 7페이지
- [사학] 백남운 10페이지
- [한국근현대사]백남운의 역사인식과 현실인식 8페이지
- [역사]유물론사학 (마르크스주의 사학) - 백남운, 이청원, 전석담 2페이지
- 특허보세구역과 종합보세구역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