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장유연성][노동시장유연화]노동시장유연성(노동시장유연화) 개념, 원인, 필요성, 노동시장유연성(노동시장유연화) 유형, 실태, 문제점, 노동시장유연성(노동시장유연화) 결과 분석(노동유연성, 노동유연화)
- 최초 등록일
- 2008.05.26
- 최종 저작일
- 2008.05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노동시장유연성(노동시장유연화)의 개념, 원인, 필요성, 유형, 실태, 문제점과 노동시장유연성(노동시장유연화)의 결과 분석
목차
Ⅰ. 개요
Ⅱ. 노동시장 유연성의 개념
Ⅲ. 노동시장 유연화의 원인
1. 제도적 수준
2. 사업체 수준
Ⅳ.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의 필요성
Ⅴ. 노동시장 유연화의 유형
Ⅵ. 노동시장 유연화의 현실과 문제점
Ⅶ. 노동시장 유연화의 결과
참고문헌
본문내용
내부노동시장의 이중화 전략이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가? 노동시장의 유연성이 높다는 것은 노동이동을 제약하는 제도적 장벽이 낮아 노동이동이 자유롭고 시장원리에 의하여 노동력이 적재적소에 배치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고 볼 수 있다. 미국의 일시해고(layoffs)제도의 경우 일시해고를 당한 근로자와 해고를 당하지 않은 근로자는 동일 노동시장에 속한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일시 해고된 근로자는 그 기업의 경영상태가 회복되면 재고용 되거나 다른 기업에 취업을 한다.
그러나, 한국에서 내부노동시장의 이중화 전략은 노동시장의 유연화에 기여하기보다는 오히려 정규직 노동시장으로의 진입이 어려운 하위단층 즉 비정규직 노동시장의 확대에 기여한다. 단층별로 입직기준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고, 동일 단층에서는 연령과 경력이 중요한 입직기준으로 되어 있어 하위단층에서 일정기간을 보내면 상위단층이나 중위단층의 입직기준을 충족시킬 수 없게 된다.
내부노동시장의 이중화 전략 차원에서 고용된 비정규직 노동력이 정규직 노동력으로 전환될 가능성은 낮을 수밖에 없다. 사용자들은 수량적 유연성 확보, 인건비 절감, 노동조합 세력약화의 전략적 차원에서 비정규직 노동력을 채용하였기 때문에 이들을 정규직으로 전환시킬 유인이 없다. 그리고 비정규직으로 채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정규직으로 채용하면 지원자의 노동력의 질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기 때문에 정규직에 공석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보다 양질의 노동력의 확보를 위하여 비정규직 노동력을 정규직으로 전환시키기보다는 정규직 노동력을 별도로 채용할 것이다. 또한 한시적 고용을 전제로 한 비정규직 노동력에 대하여 기업은 교육훈련비를 투입하려 하지 않을 것이므로 비정규직 노동력의 능력개발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것은 내부노동시장의 이중화 전략이 긍정적 의미에서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제고하기보다는 하위단층의 단층성을 심화시킬 위험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략적 선택은 정규직 노동시장과 비정규직 노동시장의 단층성을 완화시키지 못하면서 오히려 비정규직 노
참고 자료
김기헌(2003), 하향취업실태 및 과잉교육 노동자의 특성, 리서치 브리핑, 제3호, 한국노동연구원
김희삼(1994), 1970년대 경제위기와 노동 유연성 전략, 서울대 경제학과 석사학위논문
남기곤(1988), 한국의 노동쟁의 양상에 관한 실증연구, 서울대 경제학과 석사학위논문
노동부 고용관리과(2002), 지역밀착형 실업대책
류장수(2002), 지역차원의 인적자원개발체제 구축 방안, 지역사회연구, 제10권 제2호, 한국지역사회학회
배무기(1991), 한국의 노사관계와 고용, 경문사
안주엽, 김동배, 이시균(2003), 비정규직근로실태와 정책과제(Ⅲ), 한국노동연구원
이병희 외(2001), 학교로부터 노동시장으로 이행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이정규(2003), 한국사회의 학력․학력주의: 근원과 발달, 집문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