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1. 소피스트 정의BC 5세기 무렵부터 BC 4세기에 걸쳐 그리스에서 활약한 지식인들의 호칭.
아테네를 중심으로 당시 그리스 전역을 돌며 변론술과 입신출세에 필요한 백과사전적 지식을 가르치고, 많은 보수를 받았다. 아브데라의 프로타고라스, 레온티니의 고르기아스, 엘리스의 히피아스, 케오스의 프로디쿠스 등이 소피스트이다.
소피스트란 원래 `현인(賢人)` 또는 `지자(知者)`를 뜻한다. 그들은 거의 지방출신 학자들로, 각자 자부하는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있어 개인이나 국가로부터 돈을 받고 그들의 지식을 제공했다.
민주주의 사회의 시대적 요청에 따라 가장 중요한 과목은 변론술이었다. 따라서 그들은 `일신(一身)을 위해서나 국가를 위해서 선(善)을 도모하고, 언론이나 행위에서도 유능한 사람이 되는 길`을 청년들에게 가르친다고 자부했다. 그러나 그들이 실제로 가르친 것은, 개인이나 국가에 대해 선이란 이런 것이라는 지혜 보다 선에 대해 무지한 상태에서 선한 자인 체하는 기술만을 가르치는데 불과했다고 한다.
이 같은 사실을 밝힌 것이 철학자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 이며 이후 `소피스트`란 말은 `궤변을 일삼는 무리`를 의미하게 되었고, *궤변학파라고도 불렀다.
※궤변이라는 것은 어떤 확고한 기준에 비추어 봤을 때, 거기에서 어긋난 벗어난 논리로 말하는 것을 의미
목차
Ⅰ. 서 론Ⅱ. 본 론
1. 소피스트 정의
2. 소피스트 등장 배경
가. 시대적 배경
나. 철학적/사회적 배경
3. 사상가 및 주요 사상
가. 프라타고라스
나. 고르기아스
다. 기타
4. 소피스트 철학의 성격과 사회적 영향
Ⅲ. 본 론
1. 마무리
1. 2. 나의 생각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기원전 5세기 중엽 그리스에서는 지적 혁명이 발생했다. 페르시아전쟁 이후 나타난 아테네의 민주정치 발달은 평균적 시민에 대한 지적·정치적 신뢰에 기초하고 있었다. 그러나 점차로 시민들의 정치의식이 성장하고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확대되어 실용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 전통적인 사고방식에 대한 반발이 제기되었다. 결과적으로 철학자들은 우주와 자연에 대한 연구보다는 인간과 관계된 문제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새로운 지적 경향은 소피스트(Sophist)들에 의해 제시되었다. "현명한 사람"들을 의미하는 소피스트들은 아테네 시민들이 요구하는 수사학과 웅변술을 가르치면서 아테네의 황금기를 풍미했다. 이러한 소피스트들의 철학과 사상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Ⅱ. 본 론
1. 소피스트 정의
BC 5세기 무렵부터 BC 4세기에 걸쳐 그리스에서 활약한 지식인들의 호칭.
아테네를 중심으로 당시 그리스 전역을 돌며 변론술과 입신출세에 필요한 백과사전적 지식을 가르치고, 많은 보수를 받았다. 아브데라의 프로타고라스, 레온티니의 고르기아스, 엘리스의 히피아스, 케오스의 프로디쿠스 등이 소피스트이다.
소피스트란 원래 `현인(賢人)` 또는 `지자(知者)`를 뜻한다. 그들은 거의 지방출신 학자들로, 각자 자부하는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있어 개인이나 국가로부터 돈을 받고 그들의 지식을 제공했다.
민주주의 사회의 시대적 요청에 따라 가장 중요한 과목은 변론술이었다. 따라서 그들은 `일신(一身)을 위해서나 국가를 위해서 선(善)을 도모하고, 언론이나 행위에서도 유능한 사람이 되는 길`을 청년들에게 가르친다고 자부했다. 그러나 그들이 실제로 가르친 것은, 개인이나 국가에 대해 선이란 이런 것이라는 지혜 보다 선에 대해 무지한 상태에서 선한 자인 체하는 기술만을 가르치는데 불과했다고 한다.
이 같은 사실을 밝힌 것이 철학자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 이며 이후 `소피스트`란 말은 `궤변을 일삼는 무리`를 의미하게 되었고, *궤변학파라고도 불렀다.
※궤변이라는 것은 어떤 확고한 기준에 비추어 봤을 때, 거기에서 어긋난 벗어난 논리로 말하는 것을 의미
2. 소피스트 등장 배경
가. 시대적 배경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지식은 프로메테우스 신화에 기초해서 `신의 선물(※인간의 능력 중 가장 위대하다는 불의 사용법을 프로메테우스가 전해주었다는 믿음)`이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지식은 신성한 것으로 `절대 믿음`과 `참`이었다. 고대인들은 알고 싶은 것이 있다면 아폴론 신전에서 `신탁(神託)`을 했다. 초창기 신탁은 누구나 들을 수 있었다. 이렇게 되자 무슨 일이든지 신탁을 하는 혼란이 일어났고 결국 피티아Pythia/Pythoness라는 여사제가 아폴론(진실을 말하는 신으로 과거·현재·미래를 알고 있다고 함)의 신탁을 대신 전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피티아에게 직접 듣는 것이 아니라 조수를 통한 간접 전달로 보통 시詩적인 언어라서 예언은 해석자의 의도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아킬레스는 큰 사람이다”라는 신탁은 신체적으로 큰 것인지 사람 됨됨이가 크다는 것인지 애매모호했다. 그러자 사람들은 각자 자신이 주장한 나름대로의 주장이 옳다는 우김질이었다. 뒤집어 보면 고대인들의 절대적 지식인 신탁은 언제나 누구에게 보편적으로 일관된 지식이 아니었다. 그래서 자신의 주장이 참된 신탁이라는 기술적인 수사학이 등장했다.
신탁이 내용이 분명하지 않은 것을 이용해서 그럴싸한 말로 적당한 주장을 늘어놓고 이익을 얻는 사람들이 생겨났는데 그들을 `소피스트Sophist`라고 했다.
참고 자료
코플스톤 「그리스 로마 철학사」 철학과현실사 1998김진웅외 「서양사의 이해」 학지사 2000
서용순 「청소년을 위한서양 철학사」두리미디어 1996
박정옥 「철학과 사상」
http:// my.dreamwiz.com/ innqpria/ sophist, http://blog.daum.net/kangjj9/481767
http://blog.daum.net/kangjj9/480351, http:// myhome.naver.com
http://www.mathsite.co.kr, http://history.wonkwang.ac.kr/school/west/ancient/sophist.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