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정신의학적 진찰 Psychiatric evaluation
1. 정신의학적 면담
2. 정신의학적 병력조사 psychiatric history
3. 정신상태 검사Mental status examination
4. 검사실 검사
나. 진단분류 Diagnostic classification
본문내용
가. 정신의학적 진찰 Psychiatric evaluation
1. 정신의학적 면담
목적: 진단을 위해 환자에 영향을 미친 유전성, 생물학적, 發達 上의, 사회 심리적 요소를 알아내기 위함.
질환의 類型(정신증/신경증/인격장애), 정도(급성/만성), 환자의 성격에 따라 면담 방식은 달라진다.
공통적인 기법:
1) 초기에 치료적 관계 형성(Rapport): 친밀감과 신뢰감 갖도록 한다.
2) (면담=치료) - 공감, 존중, 안정감, 환자에 대한 관심(동참하되 객관성 유지 participant observer)
3) 주된 문제 파악
4) 자유로이(수분간) 이야기하도록 놔둔다. “어디 불편하세요?”
5) 개방성(開放性) 질문과 폐쇄성 질문의 혼용, 유도질문은 禁.
6) 애매한 내용은 명료히 할 것.
7) 자살에 대한 질문- 자세히
8) 면담 끝에 질문의 기회를 줄 것
9) 비밀 보장, 기록- 허락 받아야 함.
특수상황
1. 우울증과 자살 가능성: 사고 내용 자세히, 좌절감-섣불리 慰勞 禁
2. 난폭한 환자: 신체결박, 혼자 면담은 禁, 5인 이상 확보 시에 결박
3. 망상 가진 이: 동조는 하지 않되 이해하려는 자세
4. 무관심, 비협조, 함구증: 가족, 친지면담, (* 외모, 태도, 자세, 표정, 말과 쓰기- 반응 관찰), 약물 이용(Lorazepam IV) 면담 - mutism, amnesia
2. 정신의학적 병력조사 psychiatric history
증상 형성의 발전 過程을 파악, 개인의 특성 포함
1) 인적 사항: 나이, 성별, 국적(조선족, 교포, 외국인)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