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1) 노인인구의 증가
2) 고령화 사회에 따른 문제점
3) 노인에서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원인
2. 노인 재활(Geriatric rehabilitation)의 정의와 특징
본문내용
1. 서론
1) 노인인구의 증가
가) 고령화 사회에 대한 UN의 정의: worldwide problem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
7% 이상의 국가: 노년 인구국(aged population)
7% 이상인 사회: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
14% 이상인 사회: 고령 사회(aged society)
20% 이상인 사회: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
나) 우리나라의 평균수명(2002년 통계청): 급격히 증가
1960년: 52.4세, 2000년: 75.9세
2010년: 77.7세 추정, 2020년: 80.7세 추정
다) 우리나라 노인인구 증가 추계
1960년 3.3% (82만 명)
2000년 7.2% (340만 명): 고령화 사회
2019년 14.4% (731만 명): 고령 사회
2026년 20.0% (1,011만 명): 초고령 사회
2) 고령화 사회에 따른 문제점
경제적 궁핍: 생계유지와 주거부족
가족 및 사회로부터의 소외, 역할 상실
노인성 만성질환의 육체적, 정신적 고통
전체노인의 약 35%: 타인의 도움 없이는 일상생활유지 곤란
3) 노인에서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원인
Age related vs Disease related etiological factors
Ageism(노인차별): the attitudes such as "What do you expect? You are old."
문제를 일으킨 원인을 찾기보다 원인을 chronological ageing의 탓으로 돌림.
운동 능력 감소: 노화 + disuse -> “운동이 중요”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