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고대음악과 우륵
- 최초 등록일
- 2008.04.29
- 최종 저작일
- 2008.02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한국의 고대음악과 우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서론◆
한국의 고대음악가 우륵 및 가야금에 대해 공부해야 할 필요성
본론◆
1. 한국 고대 음악의 변천사
(1)상고시대음악
삼국시대 음악
고구려, 신라, 백제, 통일신라
2.한국 고대 음악의 특징
3. 한국 고대 대표 악사 “우륵”과 가야금
(1) 신라 망명 전의 우륵
2)가야금에 대해
기원. ② 종류와 구조
(2)신라로 망명한 후의 우륵
1) 그가 망명한 이유
2) 신라에서의 우륵의 활약과 한계
3) 12곡에서 5곡으로
4. 오늘날까지 전해져 오는 가야금(**고려, 조선, 현대의 가야금 소개)
5. 관련 유적지 및 박물관 소개
(1)우륵 박물관
결론◆
1. 한국 고대음악의 정리와 평가
본문내용
1)상고시대음악
우리나라 음악사에서 상고시대란 고구려, 백제, 신라가 고대국가의 체제를 형성하기 이전인, 대략 3세기까지를 가리킨다.
음악이 독립하여 연주하지 못하고 문학, 음악, 춤이 혼연일체 되어 연주되던 선사 시대에는 음악이 종교와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제사도 음악으로서 의식을 집행했으며 제사가 끝난 후 즐거운 놀이에도 음악과 춤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제사는 일종의 굿이므로 이러한 굿과 놀이는 현재 5월의 강릉 별신굿과 10월의 각 지방의 도당 굿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풍속으로 보더라도 5월 단오를 수릿날이라 하여 수릿떡을 만들어 먹고 노래와 춤으로 즐기며, 10월(음력)을 상달(上月)이라 하여 초생 달 아래에서 집집마다 신에게 고사를 드리고 선조 무덤에 제사하는 옛 풍속이 남아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음악도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종교와 더불어 생성되었으며, 종교와 음악이 오랜 기간을 지나면서 풍속화 되어 지금도 지속되고 있다.
선사 시대의 음악 문화는 우리나라에 나타난 기록이 없으므로 중국 문헌의 단편적인 기록들을 통해 이해할 수밖에 없다. 중국의 여러 문헌은 우리 음악을 기록하고 있는데, 주로 악기 이름과 제천행사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다. 이 시대에는 수렵, 채취나 농경과 관련하여 풍요를 기원하는 제천의식이 음악활동의 중심을 이루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와 관련된 중국의 옛 문헌 기록이 남아 전하고 있어 그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제천의식은 당시 부족국가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던 온 나라 사람들이 모두 모여 며칠을 계속해서 음식과 술을 먹고 마시며, 노래하고 춤추는 큰 축제였다. 이러한 제천의식에서 음악과 노래, 춤 등은 중요한 요소의 하나였을 것이다. 특히 삼한의 기풍제 에서는 오늘날의 풍물놀이와 비슷한 놀이가 행해졌다. 이들 제천의식의 유습이 오늘날의 대동 굿이나 별신 굿 등에 남아 전한다.
참고 자료
권주현 <가야인의 삶과 문화> 혜안 2004
김종성 <인물한국사이야기2> 동안출판사 1999
송방송 <한국 고대음악사 연구> 일지사 1985
이상덕 <于勒.蘭溪에 관한 연구> 호서문화연구 1982
이성천 <음악 역사와 통론> 음악예술사 2002
한규무 <뒤집어 본 인물열전> 시공사 2004
전통예술원 <한국고대음악의 전개양상> 민속원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