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대안 경제모델 - 해외 경제체제 비교를 통한 접근
karmaryan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한국의 대안 경제모델 - 해외 경제체제 비교를 통한 접근해외의 경제 모델을 근거로 한국의 대안 모델의 가능성을 사유함.
목차
1. 서론2. 미국식 자본주의
(1) 두 개의 계급만이 존재
(2) CEO의 나라
(3) 미국 노동자들은 기생충
(4) 저항하는 미국 시민들
(5) 빈자와 부자의 연대
(6) 세계 자본주의의 패권 모델로서의 미국 경제
3. 유럽식 자본주의
(1) 유럽형 자본주의
(2) 유럽형 자본주의에서 기업지배구조
(3) 유럽형 자본주의에서 노사관계
※ 독일의 자본주의
4. 중국식 사회주의
(1) 중국식 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
(2) 노·농 조직의 활성화
(3) 소결
5. 북한식 사회주의
(1) 우리식 사회주의의 체제적 특성
(2) 경제정책 및 기조
(3) 북한의 경제계획의 추진성과
(4) 나진선봉경제특구
(5) 북한의 경제정책의 효율성
6. 한국의 자본주의
(1) 한국경제의 발전
(2) 한국경제의 구조적 문제
(3) 한국 자본주의의 현재 모습
7. 유럽식 사회민주주의
(1) 사민주의의 성립·전개·분열·2차 세계대전 이후의 사민주의
(2) 케인즈주의의 파국과 사민주의
(3) 한국적 대안 모델은 가능한가
8. 마치며
※ 참고문헌 및 웹사이트
본문내용
1. 서론과거부터 자본주의는 영미식 이외에 독일식이나 일본식 등 여러 가지 모습으로 나타났다. 자본주의와 사회주의가 팽팽하게 맞섰던 지난 50여 년 동안 자본주의의 유형상 차이는 별로 중요하지 않았다. 그러나 소련과 동구 등의 사회주의가 몰락하고 세계화의 거센 파도가 몰아치면서 이런 유형의 차이가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그간 사회주의 체제가 영미식 자본주의에 대항하면서 간접적으로 여타 유형의 자본주의들에게 보호막을 제공하고 있었지만 이제는 그러한 보호막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1990년대 후반 공황을 맞은 동아시아에서는, 특히 IMF의 감독을 받으면서 엄청난 경제위기를 경험한 한국 경제에 있어서 자본주의의 유형이 현실문제가 되었다.
한국의 자본주의는 해방 직후 민중의 이념과 체제에 대한 열망과는 무관하게 미군정에 의해 이식되었다. 이렇게 시작된 한국의 자본주의는 전통사회의 규범 및 윤리와 갈등을 겪으면서, 유류파동 등 몇 차례의 난관을 극복하면서, 그리고 노동자들의 희생과 정치적인 진보를 대가로 하면서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다. 더구나 1980년대부터 적어도 외견상으로나마 노동자의 복지도 향상되기 시작했고, 정치적으로도 민주화가 시작되었다. 그렇지만 1997년 11월에 발생한 경제위기가 기존의 성과를 상당부분 앗아갔으며 무엇보다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에 직면한 우리의 선택 범위가 마치 영미식 자본주의만 남아 있는 것처럼 보여 졌다.
참고 자료
고정식, 2004, 중국의 제3의 경제체제 실험과 지속가능성: 사회주의 시장경제 시스템을 중심으로, 『현대중국연구』, 6(1):곽승지, 1997, 북한의 우리식사회주의: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 『통일문제연구』, 9(2):189~213
김균, 이병천, 1998, 『위기, 그리고 대전환 : 새로운 한국경제 패러다임을 찾아서』, 당대
김동원, 1998, 『경제위기의 원인과 전망』, 자유기업센터
김득갑, 2003, ‘유럽 기업지배구조의 현황과 전망’, 삼성경제연구소
김의수, 2002, 한국사회 현실과 민주주의 전망 -독일 사회민주주의와 녹색민주주의의 사례를 참고하여-, 『범한철학회』, 25:189~212
스콧 클링거, 2002, 미국 경제의 위기와 시스템 변혁운동-파국 향하는 막가파 자본주의를 그냥 둘 것인가, 『월간말』, 198: 116~121.
유철규, 2004, 한국 자본주의의 현안과 갇힌 진로:자본 집중과 사회ㆍ경제적 양극화 그리고 자본 수출과 유휴자본의 누적, 『동향과 전망』, 61: 68~100
이병천, 2000, 세계 자본주의 패권 모델로서의 미국경제-포드주의 경영자본주의에서 금융 주도 신자유주의로, 『사회경제평론』, 15: 12~71.
이병훈, 2003, 한국의 노사관계 발전 모델에 관한 토론회 중 ‘유럽 노사관계 모델의 이해와 시사점’
이종원, 2004. 『한국경제론』, 해남출판사
이헌근, 1999, "제3의 길" 논의와 유럽 사민주의의 미래, 『21세기 정치학회보』, 9(2);189~205
이호근, 1997, 『시장과 복지정치 - 사민주의 스웨덴 연구』, 사회비평사
임혁백, 1998, 한국 자본주의의 성장, 위기, 개혁, 『아세아연구』, 100:
정운영, 2001, 『정운영의 중국 경제 산책』, 생각의 나무
조병관, 1999, 북경통신:중국식 사회주의와 북한의 우리식 사회주의, 『북한』 325: 108~112
홍훈, 1999, 특집:위기, 그 이후:경제위기의 사회적 충격 세계 자본주의와 한국의 자본주의:위기와 미래, 『사회비평』, 19: 8~32
*두산대백과사전
*연합뉴스
*한겨레신문
참고 웹사이트
http://kin.naver.com/db/detail.php?
http://kr.blog.yahoo.com/na9210887/4629.html
http://search.koreanstudies.net/
http://www.dbpia.co.kr
http://www.leejeonghwan.com
http://www.naver.com
http://www.nl.go.kr
http://www.northkorea.co.kr/
http://www.riss4u.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