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독교 교육 철학목차
Ⅰ.서론Ⅱ. 본론
Ⅲ. 결론
본문내용
기독교교육은 어떠한 방향으로 가고 있는가? 고민해 보았을 때 21C 우리에게 필요한 교육적 방향이 무엇인가 하는 물음을 하게 된다. 21C 여러모로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교육의 방향은 여러 가지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그 중에 중요한 것을 살펴보면, 갈수록 개인주의, 이기주의가 팽배해져서 절대적 기준이 사라지는 이 시대에 성경적 기준을 가지고 양심교육을 하는 것, 은혜언약 안에서 하나님께서 인도하시는 것을 전하는 역할을 감당하는 것, 물질주의와 함께 극도로 발달한 문명 속에서 점점 사라져가는 인간성을 회복하는 것, 인간중심의 세상 속에서 점점 황폐해져가는 자연을 사랑하고 아낄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 하나님의 이름을 내세워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해지는 전쟁을 종식하고 평화롭게 살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 등이 바로 이 시대에 세워져야 할 교육적 가치인 것이다.이러한 큰 방향 속에서 교육에 관해서 고찰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성경 구절이 있다 바로 신명기 6:4-9에 나타난 하나님의 말씀이다. 신명기 6장 4-9절에서는 신명기의 풍부한 교육적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모세가 명하는 하나님의 말씀을 마음에 새겨 실천하도록 권한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공공의 장소와 마찬가지로 가정에서도 항상 하나님의 말씀을 낭독해야 하며, 성인들뿐만 아니라 자녀들에게도 부지런히 가르칠 것을 명한다. “… 집에 앉아 있을 때나 길에 나가 있을 때나, 누워 있을 때나 일어나 있을 때나 언제든지 가르쳐라". 뿐만 아니라 자녀들이 즐겨 율법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적 환경을 조성하도록 권한다. "또 너희는 그것을 손에 매어 표로 삼고, 이마에 붙여 기호로 삼아라. 집 문설주와 대문에도 써서 붙여라.
신 6: 4-9에서는 말씀을 항상 가슴 속에 간직하며, 일상생활에서 훈계로 만들어 자녀들을 교육할 것을 명령한다. 사람들이 신앙을 배우는 공간은 가정이다. 부모들은 교사로서 이스라엘의 생활규범을 스스로 통달해야 한다. 그것을 돌판에 새기듯 가슴에 새겨야 한다. 즉, 암기해야 한다(참조 잠 3, 3,…). 교육방식은 가르치는 자가 말씀을 전하고, 배우는 자가 따라 한다. 이러한 어린세대는 그들의 부모와 함께 신앙의 본문을 묵상하면서 사회화한다.
야웨와의 결합은 말씀을 학습함은 물론 외적 증거를 통해 나타내어야 한다. 손이나 이마에 붙이거나, 문설주에 붙여야 한다(신 11: 13-21; 출 13: 1-10, 11-16). 이러한 요구는 후대 유대교의 경건에서 실현되어졌다. 신약에서도 경문곽을 언급한다(마 23: 5). 신 6: 4-9은 오늘날에도 유대인들이 아침, 저녁 기도에서 반복하는 구절이다. 그래서 히브리어의 첫 단어를 따서 "쉐마"라 부른다. 예수는 신 6:4f.를 으뜸계명으로 받아들였다(마 12: 28-30). 예수는 하나님의 사랑의 계명과 함께 이웃 사랑의 계명을 결합하였다(마 12: 31). 동시에 구약을 인용하였다(레 19: 18).한동구, “신명기의 교육사상”[기독교 언어문화 연구원](국제기독교언어문화연구원,1999)
이처럼 쉐마교육은 히브리어 첫 단어인 “쉐마”를 따서 이름을 붙인 것으로 모든 것의 시작은 야웨 하나님과의 관계로부터 시작이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우리는 이 혼란한 세대 가운데에서 무엇을 “쉐마”로 교육해야 하는가? 또한 그것이 “기독교 교육 철학”과 무슨 관계가 있을까? 생각해 보게 된다. 그러면 지금부터 쉐마교육에 관해서 살펴보기로 하겠다. 쉐마 교육의 뜻에 관해서 고찰해 보기도하고, 쉐마교육에 관한 말씀에 대해서 분석하기도하고 마지막으로 쉐마교육이 어떻게 기독교 교육철학과 연관되어지며, 현대적으로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도 적어보면서 쉐마교육과 기독교 교육철학과의 관계에 대해서 더욱 깊이 생각해 보겠다.
참고 자료
크레이그 키너, “IVP성경 배경 주석: 신약”(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한동구, “신명기의 교육사상”[기독교 언어문화 연구원](국제기독교언어문화연구원,1999)
장화선,“신앙교육의 관점에서의 쉐마에 대한 연구”[신학지평](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2003)
최기수, “유대인의 성경교육에 관한 연구”[성결신학연구](성결대학교 성결신학연구소,2002)
전천혜, “「쉐마」를 통한 이스라엘의 종교교육”[교육교회](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원,1982)
허영금, "기독교 교육에 있어서 쉐마의 의의"(대전:침례신학대학 신학대학원,1988)
송지헌, “쉐마의 한국 기독교 가정교육에의 적용에 관한 연구”(서울: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2003)
도은아, “신명기서에 나타난 쉐마에 대한 고찰: 신명기6:4-9를 중심으로”(경기도: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1995)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자비에 대한 개념과 불교, 기독교, 천주교에서 말하는 자비 및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파포자료입니다.. 9페이지
- CJ 그룹 경영 전략 분석 PPT 17페이지
- 인간론-인간과 죄 7페이지
- [감상문]노인과 바다 - 인물과 상징 4페이지
- 율법과 복음 1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