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경제교육] 용돈으로 익히는 경제 생활
- 최초 등록일
- 2008.02.06
- 최종 저작일
- 2008.02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용돈교육 등을 통해서 본 바람직한 어린이의 경제교육에 관한 레포트입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1. 용돈 교육의 필요성
2. 아이의 용돈에 대한 부모의 용돈 철학
3. 아이에게 용돈 관리법 가르치기
4. 집에서 할 수 있는 용돈 경제 교육
5. 가정에서의 경제교육을 위한 생활지침
6. 엄마의 경험담
본문내용
1. 용돈 교육의 필요성
용돈은 아이들에게 일정액을 정기적으로 줌으로써 아이들이 스스로 경제적 책임 의식을 느끼게 할 수 있는 돈을 말한다. 용돈 교육은 인성 교육이요, 경제 교육이다
예전에는 `무조건 아이들은 돈에 관해서라면 모르는 것이 좋다`고들 생각했다. 하지만 이런 생각은 시대에 맞지 않는 것이 되고 있다. 요즘에는 제대로 된 경제 교육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시대이다. 대한어린이회중앙연합회에서 제시한 “어려서부터 배우는 용돈 관리를 비롯한 경제 교육은 돈을 합리적으로 사용하는 능력과 절약정신을 길러줄 뿐 아니라, 주어진 범위 안에서 욕구를 누르고 가치를 판단하는 능력을 길러준다”는 말은 용돈 교육의 필요성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실생활 속에서 아이들에게 경제관념을 심어 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이고 손쉬운 방법은 바로 용돈 교육이다. 용돈을 계획적이고 규모 있게 관리하는 동안,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생활 속의 경제를 이해하게 되고, 자신의 삶이나 장래까지도 계획할 수 있는 책임 있는 사람이 될 수 있는 것이다.
2. 아이의 용돈에 대한 부모의 용돈 철학
① 아이가 용돈 받을 준비가 되어 있는지 판단
하나 이상의 대답이 ‘그렇다’이면 아이들은 용돈을 받을 준비가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따르면 아이가 다섯 살이나 여섯 살에 이르면 용돈을 관리할 책임이 생긴다고 한다. 물론 그 시기는 각 가정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② 용돈을 주는 액수와 횟수 정하기
용돈의 액수를 결정하는 것은 민감한 문제다. 최근 한 조사에서는 한국의 초등학생이 받는 월평균 용돈은 3만 3,450원이라 한다. 중학생은 4만 7,300원, 고등학생은 8만 1,800원의 한 달 용돈을 받는다고 한다.
용돈 액수를 결정하는 데 이용하는 요인들은 용돈을 주는 횟수를 결정할 때 활용하는 요인들과 비슷하다. 용돈을 주는 데는 정해진 간격이 없다. 보름에 한 번, 혹은 일주일에 한 번, 일주일에 두 번, 한 달에 한 번 줄 수도 있고, 때로는 일 년에 한 번 줄 수도 있다.
참고 자료
김한영, 우리 아이 경제 교육 프로젝트, 황금가지, 2000
문미화, 행복한 부자로 키우는 유태인식 경제교육, 달과소, 2007
안병근, 초등학교 어린이 경제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씨마스, 2005
여성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