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동학사상의 의의
- 최초 등록일
- 2008.02.05
- 최종 저작일
- 2008.02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동학운동의 사상적 특징에 대하여 고찰한 글입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A. 최제우의 왕조사회 비판
B. 동학의 개벽사상
C. 인내천과 후천개벽
III.결론
본문내용
I. 서론
우리나라 근대 사상사의 전개과정에서 동학사상은 낡은 왕조사적 이데올로기를 물리치고 민족 사상의 새 주류로 등장한다. 혁신유학의 형태로 나타난 실학운동이 기왕의 주자학과는 달리 현실적인 시정개혁안인 시무책을 추구한 새로운 사상운동이었으나 그 운동의 담당계층은 독서인 층이었던 점에서 위로부터의 근대적 자각에 눈뜬 학문적 운동이었다고 인정된다.
그러나 동학은 밑으로부터 민간신앙과 혼합된 형태로 유. 불. 선을 융합시켜 서민을 위한 하나의 민족적 종교 운동을 일으켰다. 비록 동학의 체질안에는 구석구석 위정척사론과 상통하는 존왕양이사상이 남아 있고 서양도래의 충격에 대한 위기감도 깃들어 있다. 그러면서도 ‘보국안민’, ‘광제창생’의 기치를 높이 든 동학은 ‘아국운수’ 라든가 ‘동국’ 등 개별적 민족 국가 관념에 대한 맹아가 싹터 있고 반양반적 개혁의지도 풍겼다. 더욱이 동학운동은 그 범신론적 교리를 통해 상하귀천의 차별을 부정하면서 널리 민중을 국정개혁에 동원한 점에서 단순한 주술이나 영부로 혹세하는 민간신앙이 아니었다. 그 점에서 이 운동은 독일의 농민전쟁에서 농민을 인간적 자각에 눈뜨게 했던 농민적 평민파 뮌처의 범신론 사상과 비교될 수 있고 이 동학으로 계몽된 민중은 1894년 갑오 농민운동과 1911년의 3.1 운동에서 경세안민의 주체로 승격되어 민족적 주체세력으로 대두됨을 보게 된다.
동학사상의 계보는 대체로 세 단계를 거쳐서 1860년 4월 5일 교조 최제우의 동학 대각에서 연원되지만 그가 생전에 지어 남긴 경전 동경대전과 한글가사 용담유사 8편을 통해 시천주 신앙과 아울러 보국안민의 경세적 관심, 현실적 유토피아로서의 지상천국 건설의 이념을 폈다. 최제우의 사상은 제 2세 교조 최시형에 와서는 세속화되었고 향아설위법까지 감행할 정도로 한울 ‘천’이 인간에 내재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경천애인의 이념은 양천주설, 이천식천설, 그리고 때로는 지저귀는 새소리도 천주의 소리로 듣도록 가르친 자연애호사상에까지 도달했다.
참고 자료
유명종, 한국철학사, 일영사, 1982
박충석, 한국정치사상, 삼영사, 1982
최국주, 한국철학사, 동명사, 1989
김인환, 동학의 이해, 고려대학교출판부, 1994
임형진, 동학의정치사상, 모시는사람들, 2004
장영민, 동학의 정치사회운동, 경인문화사,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