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민법에서는 법률혼주의를 취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엄격하게 지켜지고 있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본 글에서는 사실혼에 관한 이러한 복잡한 법리적 문제에 앞서, 사실혼에 관한 의의와 사실혼 부부의 법적 지위, 해소시의 법적 지위 등으로 나누어 문제점을 짚어 보도록 한다.
우리나라 민법에서는 법률혼주의를 취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엄격하게 지켜지고 있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본 글에서는 사실혼에 관한 이러한 복잡한 법리적 문제에 앞서, 사실혼에 관한 의의와 사실혼 부부의 법적 지위, 해소시의 법적 지위 등으로 나누어 문제점을 짚어 보도록 한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A. 사실혼의 개념
1. 사실혼의 의의
2. 사실혼의 법적성격
B. 사실혼의 성립요건
C. 사실혼의 유형
1. 혼인연령, 재혼금지기간 및 부모의 동의와 사실혼
2. 동성동본혼금지, 중혼금지규정위반과 사실혼
E. 사실혼 부부의 기타 법률상의 법적 지위
1. 공무원연금법
2. 국민연금법
3. 군인연금법
4. 사립학교교직원연금법
5. 범죄피해자구조법
6. 주택임대차보호법
7. 근로기준법
8. 선원법
9. 고용보험법
10. 정리
F. 사실혼의 해소
1. 당사자 일방의 사망에 의한 사실혼의 해소
2. 합의에 의한 사실혼의 해소
3. 당사자 일방의 의사에 의한 해소
4. 사실혼 해소시 자녀의 지위
G. 중혼적 사실혼
III. 결론
본문내용
I. 序論
우리 민법 제812조 제1항은 “혼인은 호적법에 정한 바에 의하여 신고함으로써 그 효력이 생긴다.”고 규정하여 법룰혼주의를 취하고 있음을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법률혼주의를 취하는 근거로는 복잡다단한 사회에서 혼인이라는 기본적인 신분관계를 형식화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제3자와의 관계에서 그 성립을 공시하는 역할도 하기 때문이다. 또한 중혼이나 근친혼 같은 불법적인 혼인에 대하여 국가의 제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늘날 이러한 법률혼주의는 엄격하게 지켜지지 않는다. 현실적으로 결혼식과 동시에 혼인신고를 하는 경우는 거의 찾아볼 수 없고, 또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서 혼인신고를 미루기도 한다. 즉, 현실적으로 사실혼관계에 있는 사람들이 많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실혼은 법률혼과 달리 법적인 제도가 뒷받침되어 있지 않고, 일방당사자의 지위가 불안정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볼때, 현실적으로 사실혼에 대한 법적인 이론정립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진다. 이는 사실혼관계에 있는 당사자들의 지위뿐만 아니라, 사실혼의 해소시 법률혼과 유사한 법리를 적용할 수 있는 지도 문제가 될 것이다.
실제적으로 사실혼의 해소시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는 재산에 관한 법리 중, 재산분할청구권의 상속문제, 재산분할 시의 사정변경과 분할내용의 변경여부, 재산분할과 사해행위와의 관계, 재산분할과 조세와의 관계, 재산분할청구권과 보전처분문제 등에 관해서는 현재까지도 이론상 또는 실무상 그 명확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본 글에서는 사실혼에 관한 이러한 복잡한 법리적 문제에 앞서, 사실혼에 관한 의의와 사실혼 부부의 법적 지위, 해소시의 법적 지위 등으로 나누어 문제점을 짚어 보도록 하겠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