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조선 후기 문화에 있어서 영향을 준 오원 장승업의 화풍과 특징 그리고 그의 영향에 관한 리포트.
목차
1. 머리말
2. 본론
1) 조선후기 사회변동과 화단의 흐름
2) 조선말기 화단의 특징과 영향
(1) 오원 장승업과 그의 시대
(2) 오원 장승업의 화풍과 특징
(3) 오원 장승업이 후세에 끼친 영향
3. 맺음말
본문내용
우리 미술사를 통틀어 조선후기만큼 매력적인 시기는 없을 것이다. 경제성장을 토대로 한 봉건사회 해체기 내지 근대로의 이행기라는 커다란 사회변동 속에서 당대 사람들의 의식변화와 미적 이상, 삶의 정취와 시대향기, 예술성을 동시기의 다른 분야보다 구체적이고 생동감 넘치게 발산하였기 때문이다. 한국미술사에서 조선후기 회화의 찬란한 업적은, 조선풍의 고전적 전형을 완성한 점에 있다. 또한 사실주의 정신에 바탕을 둔 조선풍의 독창성을 이끌어냈다는데 있다. 이러한 조선풍의 독창성과 사실주의 창작방식은 17세기에 새롭게 그 기운이 일었고, 18세기에 완성을 보이게 된다. 하지만 18세기 회화가 봉건문화의 틀 속에서 번영한 만큼 19세기에는 시대적 갈등이 심화되고 지배체제가 흔들리면서 형식화로 치닫게 된다. 19세기는 본격적으로 봉건사회가 해체되는 시기로, 유교적 신분제가 와해되면서 근대로 향하는 변혁기이다. 즉, 19세기의 회화는 18세기와는 달리 변혁기의 갈등을 승화해내지 못하였고 변화된 현실을 담을 새로운 시각이나 창조성을 강구하지 못한 채 형식적 퇴조로 치닫게 된다. 하지만 미흡하나마 18세기 회화 수준을 유지하고 시대성향을 읽을 수 있는 작품은 나왔다. 이는 한말의 장승업에 의해 이뤄졌다 할 수 있다. 비록 주제의식에서 현실감이나 시대정신과 거리가 있는 복고풍에 머물러 있지만, 뛰어난 표현기량으로 묘사력을 진척시켰다. 또한 조선후기 회화를 20세기 초 조석진과 안중식을 통하여 근현대 회화로 연결시키는 교량적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참고 자료
이구열, <<근대한국화의 흐름>>, 미진사, 1984
안휘준, <<한국 회화의 이해>>, 시공사, 2000
최일성외, <<문화유산으로 본 우리 문화>>, 교우사, 2005
윤범모, <<한국근대미술>>, 한길아트, 1998
((참고 논문))
금재용, <<오원 장승업 작품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2000
이태호, <<기획2 : 조선후기 사회변동과 예술 회화 - 조선후기 회화의 조선풍 · 독창성 · 사실주의->>, 역사비평, 역사문제연구소, 1993
김형기, <<근대 한국화 흐름의 소고>>, 경희대학교현대미술연구소 , 1992
최병식, <<한국 미술의 사상과 예술 세계: 한국 전통 회화의 큰 흐름과 새 지평>>, 현대 미술 연구소 논문집, 2002
조정육, <<(문화로 역사 읽기1) 조선시대 화가 이야기 ④ <광기와 예술가> - 최북(崔北)과 장승업(張承業) ->>, 내일을 여는 역사 제21호, 2005년 9월
조정육, <<창간호 : 심전 안중식의 생애와 예술>>, 한국근대미술사학회, 1994
최열, <<(19세기 한국미술의 거장들 9)장승업, 형식주의자의 낭만과 민족정신>>, 미술세계 통권190호, 2000년 9월
장우성, <<화단풍상칠십년 (3) : 일중 김충현, 소림 조석진과 심전 안중식>>,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4